삼성전자, LCD사업부 분사

삼성전자가 액정표시장치(LCD)사업부를 따로 떼어내 삼성디스플레이라는 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삼성전자는 지난 16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본관에서 제43기 주주총회를 열어 LCD사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LCD사업부를 분사하는 안건을 상정해 통과시켰다고 18일 밝혔다. LCD사업부는 다음 달 1일 자본금 7천500억원인 가칭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의 신규법인으로 출범하고 나서 상반기 중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와 합병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새 회사의 대표로는 박동건 삼성전자 LCD사업부장(부사장)이 선임됐다.삼성전자 LCD사업부는 지난해 22조7천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LCD 시황 악화로 1조6천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분사된 LCD사업부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와 통합하면 매출 30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디스플레이 회사가 탄생한다. 이와 함께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연결기준으로 매출 165조원, 영업이익 16조원인 지난해 영업실적이 보고됐다.권오현 DS총괄 부회장은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됐고, 최지성 부회장과 윤주화 사장도 사내이사로 재선임됐다. 윤동민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김한중 연세대학교 총장, 이병기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등 3명은 사외이사로 임명됐다. 최지성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지난해 금융위기 어려움 속에서 주주들의 격려와 성원에 힘입어 창사 이래 최대 매출과 안정적 손익을 창출하는 등 업계 선두 자리를 굳건히 했다면서 올해 전자산업의 재편은 더욱 가속화 되고 글로벌 경쟁 역시 심화할 것이지만 주력사업의 경쟁력 격차 확대, 차별적 신가치 창출, 미래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매출 성장세와 견조한 영업이익 창출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고유의 경쟁력 위에 차별적 신가치를 창출하고 지속적 성장을 위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 대비하는 상시 리스크 경영체제를 가동할 계획이다.우선 차별적 신가치 창출을 위해 주력사업의 하드웨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는 동시에 소프트웨어, 디자인, 서비스와 같은 소프트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육성사업은 신성장 모멘텀을 확보해 근본적인 경쟁력을 갖추도록 할 예정이다. 또 지속적 성장을 견인할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료기기 사업 같은 신규사업을 조기 활성화할 계획이다.또 정도 구매를 체질화하고 협력사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등 동반성장 문화를 정착하고 현장 밀착형 준법경영을 강화한다.최 부회장은 올 한해 글로벌 선도업체의 위상을 지속 강화하면서 전자산업의 일대 변혁기를 맞아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농진청, 시골여행 앱 출시

올 봄에는 가족연인과 스마트 시골여행 다녀오세요.농촌진흥청은 전국 200개 농촌마을의 관광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길따라, 맛따라, 바람따라 시골여행이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무료로 제공한다고 18일 밝혔다.이 앱은 ▲테마 ▲지역 ▲검색 ▲추천 등 4개 메뉴로 구성돼 사용자 편의에 따라 농촌마을을 찾아볼 수 있다. 농촌을 마을별로 소개하고 행사와 축제, 시설, 경관, 자연환경, 농특산물, 전통자원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테마메뉴는 놀거리, 먹거리, 볼거리, 살거리, 쉴거리, 알거리, 체험거리 등 7가지 주제별로 마을을 검색할 수 있으며 지역메뉴로 들어가면 10개 시도별로 나눠 수록돼 있다. 검색메뉴는 주소, 마을이름, 마을자원 등을 입력하면 가려는 마을을 손쉽게 찾을 수 있고, 추천메뉴를 클릭하면 농촌진흥청이 추천하고 행사축제가 열리는 마을을 알 수 있다.앱에 소개된 전국 200개 농촌마을은 농촌진흥청에서 지정한 전통테마마을 141곳과 농촌어메니티 조사를 통해 풍부한 자원을 보유한 마을 59곳이다. 시골여행 앱은 안드로이드 마켓과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농진청 농촌환경자원과 김상범 연구사는 앞으로 국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농촌마을을 여행할 수 있도록 유용한 농촌마을정보를 시골여행 앱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사용자들의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앱 사용방법과 기능에 대한 설명과 200개 농촌마을을 간략히 소개한 책을 앱과 같은 이름으로 발간했다.이 책은 농진청 농업과학도서관(http://lib.rda.go.kr)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PDF 파일로 볼 수 있으며, 수량 범위에서 희망자에게 무료 배부한다.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LED 이용 버섯재배 기술 상용화 된다

LED(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해 버섯을 재배하는 기술이 상용화될 전망이다.경기도농업기술원은 14일 농업기술원에서 ㈜위럭스(사장 김영철)와 LED 이용 버섯재배 기술 이전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이전된 기술은 도 농기원이 2년간 연구 끝에 전국 최초로 개발한 LED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및 느티만가닥버섯 재배방법으로 기존의 형광등 재배에 비해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재배비용을 절감하는 신기술이다.청색LED를 활용해 버섯을 재배하면 기존의 형광등 처리구 재배에 비해 에르고스테롤 함량이 약 4배, 항산화 활성이 약 2배 가량 증가하는 등 품질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느타리버섯은 청색과 백색을 혼합한 LED를 이용하면 상품수량이 14% 증가되며 형광등에서 재배한 것보다 균일도가 높아 품질이 우수했다. 빈번한 형광등 교체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전기사용료도 약 70%를 절감할 수 있다. 버섯류에 들어있는 에르고스테롤은 자외선에 의해 비타민D2로 전환되는 물질로, 어린이와 임산부, 노화가 시작되는 중년의 뼈의 연화방지 및 구루병을 예방하며 체내에서 칼슘 성분의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한다. 임재욱 원장은 연구된 기술을 LED 전문개발업체인 ㈜위럭스에 기술 이전해 대량생산의 기반이 조성됐다며 보다 저렴한 LED 상품 개발에 전력해 실용화 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삼성전자, 갤럭시탭 7.7 LTE 출시

삼성전자가 고화질 아몰레드가 탑재된 태블릿을 국내에 처음으로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슈퍼아몰레드 플러스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갤럭시탭 7.7 LTE를 SK텔레콤을 통해 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갤럭시탭 7.7 LTE는 지난해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11에서 처음 공개돼 뛰어난 화질로 해외 미디어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슈퍼아몰레드 플러스는 고해상도의 선명한 화질, 자연색에 가까운 색 재현력, 좌우 어디서나 또렷한 영상을 제공하는 180도 시야각 등을 제공해 인터넷, 전자책, 동영상 이용이 편리하다. 통화 기능도 눈에 띈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셋 없이도 일반 휴대폰처럼 음성통화가 가능하며 LTE 통신망을 이용한 고화질 영상 통화도 지원한다. 리더스허브, 소셜허브 등 삼성의 프리미엄 컨텐츠 서비스를 즐길 수 있으며 특히 러닝허브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 교육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최신 기능을 탑재하면서도 7.9㎜ 슬림한 두께에 345g의 무게로 휴대성을 극대화했으며 메탈 소재를 사용하여 세련되고 매끄러운 디자인을 적용했다. 이외에도 와이파이 채널 2개를 동시 접속해 더욱 빠른 속도로 무선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와이파이 채널본딩, 1.5GHz 듀얼코어, 5천100㎃h 대용량 배터리, 지상파DMB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탑재했다. 라이트 실버 컬러로 가격은 80만원대. 삼성전자 관계자는 고화질의 슈퍼아몰레드 플러스 화면은 멀티미디어 사용이 많은 태블릿 사용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태블릿 라인업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3D 기능 갖춘 LCD패널 인기

최근 3D TV가 인기를 끌면서 올해 LCD TV 패널 중 3D 기능을 갖춘 패널의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13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편광필름패턴(FPR)방식으로 제조되는 3D LCD 패널이 급성장하면서 셔터글라스(SG) 방식과의 차이를 크게 줄일 것으로 관측됐다.11일 시장조사기관 NPD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3D LCD TV 패널 출하량은 780만달러로 전분기보다 2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이에 따라 지난 한해동안의 3D LCD TV 패널 출하량은 총 2천120만달러에 이르렀다. 이는 전체 LCD TV 패널 출하량의 10.1%에 이르는 규모이다.올해 3D LCD TV 패널의 출하량은 작년보다 138% 증가한 5천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전체 LCD TV 패널 출하량에서 3D기능을 탑재한 패널의 비중은 21.6%로 높아진다.3D TV 패널의 제조방식은 SG방식이 FPR를 아직까지 압도하고 있지만 갈수록 차이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SG방식은 디스플레이에 좌우 영상을 따로 표시하고 좌측 영상은 좌측 안경이, 우측 영상은 우측 안경이 열려서 좌우영상을 분리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반면 FPR방식은 TV의 한 화면에서 두가지 영상을 동시에 보여주고 이것을 편광안경을 통해 인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삼성전자는 SG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며 LG전자는 작년 초에 SG방식에서 FRP방식으로 바꿔 3D TV를 제조하고 있다.지난해 3D 기능이 탑재된 LCD 패널(10.1%)중 SG방식이 6.2%, FRP방식이 3.9%였다.올해에는 각각 11.6%, 10.0%로 높아진다.이에 따라 전체 LCD패널중 3D 기능이 장착된 패널의 비중은 21.6%까지 치솟는다.특히 4분기에는 13.6%, 12.1%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LCD 패널 4대 중 1대 이상(25.7%)이 3D 기능을 갖출 것으로 예측됐다.NPD디스플레이서치 관계자는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들이 3D 패널에 대한 프로모션을 강화하고 소비자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어 급성장세가 예상된다면서 다만 아직은 3D TV의 콘텐츠와 서비스가 부족해 이 부분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삼성 ‘시리즈5 울트라’ 핑크ㆍ브라운 에디션 출시

삼성전자가 신세대와 여성 고객을 겨냥해 핑크, 브라운 색상의 시리즈5 울트라 팝 핑크(Pop Pink)와 시리즈5 울트라 모카 브라운 (Mocca Brown)을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최근 CNet Asia 선정 5대 울트라북으로 선정되기도 한 삼성 시리즈5 울트라는 128GB SSD 모델 외에도 500GB HDD 모델을 함께 선보여 넉넉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SSD 모델은 10초대 부팅이 가능하며, HDD 모델은 익스프레시캐쉬 (ExpressCache)와 삼성 패스트 테크놀로지(Fast Technology)를 적용해 16초만에 부팅이 가능하고 인터넷 로딩 속도도 일반 노트북 대비 2배 빠르다. 6.5시간 지속되는 배터리 성능(모바일 마크 기준)과 비반사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리즈5 울트라 컬러 모델은 노트북 체험존 샘스 카페(Sam's Cafe) 3, 4호점인 투썸 압구정 51K점, 가로수길점에서 체험해 볼 수 있다. 삼성전자 IT솔루션사업부 송성원 전무는 출시 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삼성 시리즈5 울트라는 휴대성과 성능, 저장공간을 모두 갖춘 울트라북이라며 클래식한 디자인과 강한 바디에 다양한 컬러를 추가해 고객층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