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별·성별 비만율… 남성은 젊을수록, 여성은 나이 들수록 뚱뚱

'여성은 나이 들수록 뚱뚱' 남성은 대체로 젊은 시절 뚱뚱했다가 나이가 들수록 날씬해지는 반면, 여성은 연령과 비례해 비만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질병관리본부의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3천840가구 1만명 대상) 결과에 따르면, 만19세 이상 전체 성인의 연령대별 비만율은 ▲20대 22.4% ▲30대 33.2% ▲40대 33.7% ▲50대 37.3% ▲60대 36.3% ▲70대이상 33.8% 등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나이에 따른 비만율 차이가 거의 없는 것 처럼 보이지만, 성별로 나눠보면 뚜렷한 연령별 추이가 드러났다. 남성의 경우 20대에 29.3% 정도였던 비만율이 30대에 47.1%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40대(41.5%)50대(40.8%)60대(29.3%)70대이상(26.2%) 등 나이가 들수록 가파르게 떨어졌다. 이에 비해 여성은 20대에 14.4%에 불과했던 비만율이 30대(17.9%)40대(25.7%)50대(33.7%)를 거쳐 60대(42.7%)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70대이상의 여성 비만율(38.6%)도 같은 연령대 남성(26.2%)보다 높았다. 허리둘레 기준 비만(남성 90㎝여성 85㎝ 이상) 판정 결과에서도 여성의 연령과 비만 사이 연관성은 확연했다. 남성의 경우 20대(15.6%)를 제외하면 30대~70대이상 허리둘레 비만율은 24.4~27.9% 사이에서 큰 변화가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20대 7.1% ▲30대 11.5% ▲40대 13.5% ▲50대 21.4% ▲60대 36.8% ▲70대이상 43.7% 등으로 나이가 들수록 높아졌다. 이관주기자 사진= 여성은 나이 들수록 뚱뚱

오염 방지시설 있어도 미가동… 폐수 무단 방류

오염방지 시설을 설치하고도 이를 가동하지 않거나 폐수를 무단방류한 공장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28일 경기도공단환경관리사업소(이하 공단환경사업소)에 따르면 공단환경사업소는 지난 7월부터 반월ㆍ시화, 평택포승 등 국가산업단지 4곳과 성남 산단 등 지방산업단지 45곳에 입주한 사업장 1천522곳을 대상으로 점검을 벌였다. 조사 결과 104곳의 업체들이 대기 및 폐수 방지시설을 비정상적으로 가동하거나 오염물질을 무단으로 배출하는 등 관련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형별로는 대기폐수방지시설 비정상가동 19곳, 배출허용기준 초과 17곳, 무허가 24곳, 변경신고 미이행 44곳 등으로 집계됐다. 반월공단에서 합금을 제조하는 A업체는 반사로(反射爐)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을 방지시설에 유입하지 않고 무단 배출하다 적발됐다. 같은 반월공단의 B유독물취급업체는 종업원이 보호의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벌였으며, C유독물취급업체에서는 질산 저장시설에서 질산 20ℓ가 유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공단환경사업소는 적발된 업체 중 44곳을 대기환경보전법 위반 등 혐의로 고발하는 한편 폐쇄명령 1곳, 조업정지 21곳, 사용중지 22곳 등 행정처분했다. 또 나머지 60개 업체에는 개선명령 등을 내렸다. 공단환경사업소 관계자는 고의상습적인 환경 관련법령 위반행위 재발방지를 위해 이들 위반업체를 중점관리사업장으로 분류해 강력히 단속할 계획이라며 휴일 및 야간 등 취약시간대에 특별대책반을 운영하고, 자동감시시스템(TMS)을 구축하는 등 상시감시 체계를 유지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동식기자

매립쓰레기 수백t 유출… 서해·시화호 수질 위협

시화호 해수 유통되면서 흙 씻겨 상ㆍ하류 공유수면 4㎞ 구간 걸쳐 폐비닐ㆍ플라스틱 등 갯벌에 널려 방치땐 서해 오염 가중 불보듯 시화호 상류에 조성된 갈대습지공원에서 하류에 이르는 공유수면 4㎞ 구간에 인근 쓰레기 매립장에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각종 생활쓰레기 수백여t 가량이 방치, 시화호의 수질 및 토양 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15일 습지관리사무소 및 주민 등에 따르면 갈대습지공원 상류 수중보에서 인근 대우 9차 아파트에 이르는 4㎞가량의 공유수면에 폐비닐 및 플라스틱, 스티로폼, 타이어 등 썩지 않은 각종 생활 쓰레기 등이 뻘흙에 마구잡이로 널려 있다. 이는 상록구 본오동 665일대 시화호 상류 50만여㎡ 규모의 시화 광역쓰레기 매립장에서 쓰레기가 유출된 뒤 지금까지 방치된 것으로 관리사무소 측은 판단하고 있다. 시화 광역쓰레기 매립장은 지난 1989년 경기도가 안양ㆍ과천ㆍ의왕 등 도내 8곳의 지자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해당 지자체 예산을 공동으로 투입해 조성한 뒤 430만여t의 쓰레기를 매립한 곳이다. 시화호 공유수면의 각종 쓰레기가 뒤늦게 드러난 배경에 대해 습지공원 측은 쓰레기 매립장에서 많은 양의 생활 쓰레기가 유출돼 갯벌 등에 묻혀 있었으나 시화호에 해수가 유통되면서 60㎝가량의 흙이 씻겨 내려가 쓰레기가 드러나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화호의 오염은 물론 쓰레기가 서해 바다로 유입될 경우 해양 오염을 가중시킬 것으로 우려되고 있으며 시화호 공유수면 모래 및 갯벌 흙에 얼마나 많은 양의 썩지 않는 생활쓰레기가 매립돼 있는지에 대한 확인 작업 또한 요구되고 있다. 시화호 지킴이 최종인씨는 공유수면에서 발견된 쓰레기가 최근에 유입된 것이 아니라 인근 쓰레기 매립장에서 유출, 갯벌에 묻혀 있다 해수 유통 이후 모습을 드러낸 것으로 추정된다며 시화호의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수거작업을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해외 인터넷 사이트 식품 함부로 섭취했다간 ‘큰 일’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식품 65건을 검사한 결과, 14건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일부 제품에서는 환각효과, 빈맥, 심방세동,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는 요힘빈(Yohimbine)과 뇌졸중, 수면장애 등의 부작용으로 사용이 중단된 시부트라민(Sibutramine) 등이 검출되기도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 6월4일부터 8월7일까지 두 달간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제품 중 65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14개 제품에서 요힘빈 등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위해성분이 검출돼 관세청에 통관금지 및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위해성분이 검출된 제품은 성기능 개선 표방 2건, 다이어트 효과 표방 12건이다. 성기능 개선을 표방한 Max SIZE, TESTOSTERONE TRIGGER 제품에서는 각각 요힘빈이 캡슐 당 14.84mg, 이카린이 0.23mg 검출됐다. 최음제 및 동물용 의약품(마취 회복제)으로 사용되는 요힘빈은 환각 효과와 함께 빈맥, 심방세동,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고 어지럼증, 불면증, 두통, 과민성이 보고된 바 있다. 다이어트 효과를 표방한 Joyful SLIM, B4, Sulpt N Cleanse 등 12개 제품에서는 시부트라민(15.61mg~27.95mg), 요힘빈(0.22~5.00mg), 센노사이드(3.25mg~1.52mg), 카스카라사그라다 성분이 검출됐다. 시부트라민은 고혈압, 가슴 통증, 뇌졸중, 수면장애, 변비 등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 중단된 의약품이다. 센노사이드(Sennoside) 역시 변비치료제로 장 무기력증 등 부작용 우려된다. 카스카라사그라다(Cascara sagrada)는 임신 중 태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궤양 또는 예민한 장증상이 있는 사람에게는 부작용이 우려된다. 안영국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