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다시 300대로...경기지역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 40%대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위중증 환자가 다시 3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경기도내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도 상승하고 있다.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5만5천292명으로 확인됐다. 엿새째 10만명을 넘기던 신규 확진자가 전날(10만5천507명)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내려갔지만, 이는 주말의 영향으로 진단 검사 수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요일 기준 5만명대 확진자가 나온 것은 지난 4월11일(9만912명) 이후 17주 만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일(4만4천654명)의 1.24배, 2주일 전인 지난달 25일(3만5천858명)의 1.54배에 달한다. 위중증 환자는 324명으로 지난 6일(313명)에 이어 다시 300명대를 넘어섰다. 하루 사망자는 29명이다. 경기지역에선 1만5천95명의 감염 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도내 코로나19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도 42.1%로 40%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날(39.7%)보다 2.4%p 상승한 수치다. 한편 이날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는 고위험군이 적기에 치료제를 처방받는 등 철저히 보호된다면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엔데믹’으로의 변화가 멀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오미크론 유행 이후 소아·청소년 환자가 증가하고 사망건도 보고되고 있어 관련 사례들에 대한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노소연기자

일요일 기준 17주만에 10만명대…8일부터 항체치료제 ‘이부실드’ 투약

일요일 기준 확진자가 넉 달여만에 10만명을 넘긴 가운데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이부실드’ 투약이 8일부터 시작된다. 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0만5천507명으로 집계됐다. 일요일 확진자가 10만명을 넘긴 것은 지난 4월10일(16만4천453명) 이후 17주 만이다. 또 지난 2일(11만1천789명)부터 엿새째 신규 확진자가 1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31일(7만3천559명)과 2주일 전인 지난달 24일(6만5천372명)과 비교하면 각각 1.43배, 1.61배 증가한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297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27명이다. 경기지역에서는 2만6천291명의 감염 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에 따르면 코로나19 항체치료제 이부실드가 8일부터 투약된다. 투약 대상은 코로나19 예방백신을 맞아도 항체형성이 잘되지 않거나 백신을 맞기 힘든 중증 면역저하자이다. 이부실드는 체내에 코로나19 예방용 항체치료제로 효과는 최소 6개월간 지속된다. 한편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재유행 정점이 이르면 이달 1∼2주 사이, 늦어도 이달 중 형성될 것이며 이후 유행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 크다는 예측을 내놓았다. 다만 여름 휴가철 이후 검사 건수가 늘어나면 일시적으로 확진자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소연기자

사흘째 10만명 이상 감염…재유행 정점 시기 15만명 나올 듯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사흘 연속 10만명대를 유지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재유행 정점 시기에 일일 15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11만9천922명)보다 1만2천28명 줄어든 10만7천894명이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28일(8만8천361명)의 1.22배, 2주일 전인 지난달 21일(7만1천142명)의 1.52배 각각 많은 수치로 이달 2일(11만1천770명) 이후 10만명 이상의 양성판정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지난 5월18일(313명) 이후 78일 만에 300명대인 310명이며 사망자는 34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2만7천827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재유행이 정점에 도달했을 때 하루 최대 30만명의 확진자 발생을 예측했던 방역 당국은 전망치를 15만명으로 조정했다. 확진자 한 명이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키는 정도를 의미하는 감염재생산지수(Rt)가 지난 6월 둘째 주 1.58에서 1.13(지난달 31일부터 이달 3일)으로 감소 측정되는 등 확산세가 다소 꺾였기 때문이다. 한편 현재까지 이뤄진 1~4차 백신 접종은 총 1억2천600여만건으로 이 중 이상반응은 전체 0.37%인 47만3천여건이다. 사망자 신고 사례는 1천700여건이다. 이정민기자

누적 확진자 2천만명 돌파…정부 “표적방역 추진”

코로나19 사태 이후 누적 확진자가 2천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방역 당국이 그동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적방역’을 추진한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11만1천789명)보다 8천133명 늘어난 11만9천922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집계로 누적 확진자가 2천5만2천305명을 기록하며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후 약 2년7개월 만에 누적 2천만명을 훌쩍 넘겼다.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27일(10만245명)의 1.20배, 2주 전인 지난달 20일(7만6천372명)의 1.57배만큼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284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26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하루 동안 3만1천701명이 감염됐다. 이런 가운데 국내 우세종인 BA.5 변이보다 면역 회피성과 전파력이 더 강한 BA.2.75 변이(일명 ‘켄타우로스’)의 감염자가 5명 추가로 확인돼 누적 14명이 됐다. 특히 이들 중 2명은 10세 미만 확진자이다. 10세 미만 BA.2.75 변이 확진자가 확인된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한편 방역 당국은 3일 확진자가 많이 나오는 곳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표적방역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표적방역은 데이터에 기반해 코로나19에 취약 그룹을 발견하고 이들의 중증화·사망을 방지하기 위해 집중 관리하는 형태의 방역이다. 노소연기자

신규 확진 11만1천789명…경기도 109일만에 하루 확진 3만명대

하루 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시민이 11만명을 돌파하면서 경기도내 신규 확진자도 석 달여 만에 3만명대로 급증했다.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4만4천689명)보다 2.5배 급증한 11만1천789명이다. 신규 확진자가 11만명을 넘은 것은 지난 4월19일(11만8천474명) 이후 105일 만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26일(9만9천252명)과 2주일 전인 지난달 19일(7만3천550명)과 비교하면 각각 1.13배, 1.52배만큼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282명이며 하루 확진자는 16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전날(1만3천7명)보다 1만7천91명 많은 3만9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도내 하루 확진자가 3만명을 넘긴 것은 지난 4월14일(3만2천584명) 이후 109일 만이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이 빠르고 면역 회피 특성이 강한 BA.5 변이의 국내 검출률이 60.9%를 기록하며 우세종으로 자리잡았다. 방역 당국은 국내 검출률이 50%를 넘을 때 해당 변이가 우세종이 됐다고 판단한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사전예약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에 총 9만8천349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까지 50대의 4차 백신 접종률은 5.0%, 60세 이상의 4차 접종률은 37.7%이다. 노소연기자

신규 확진 4만명대로 감소…2일부터 밀접접촉자 비용 절감

주말 영향으로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줄어든 가운데 2일부터는 코로나19 무증상자도 밀접접촉을 했다면 검사 비용이 경감된다.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7만3천589명)보다 2만8천900명 적은 4만4천689명이다. 통상 주말에는 진단 검사 수가 줄어 확진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25일(3만5천860명)의 1.24배, 2주일 전인 지난달 18일(2만6천278명)과 비교하면 1.7배의 증가한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287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21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1만3천7명 양성 판정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2일부터 코로나19 무증상자도 감염자와 밀접 접촉을 했다면 5천원으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 그동안 무증상자가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으려면 5만원가량을 지불해야 해서 ‘숨은 감염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에 비용 부담을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SK바이오사이언스는 유럽의약품청에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의 조건부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스카이코비원은 미국 워싱턴대 약학대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공동 개발했으며 지난 6월 말 국내 식품의약품안저처로부터 허가받은 국산 1호 백신이다. 또 이날 아르헨티나 연구진이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후각 상실이 인지 저하의 강한 전조증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노소연기자

신규 확진 8만8천384명…백신 이상반응 ‘357건’ 보상 결정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8만명대를 기록하며 소폭 감소한 가운데 정부가 백신 이상반응 사례에 대해 일부 보상하기로 결정했다.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8만8천384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1주일 전인 지난 21일(7만1천145명)의 1.2배, 2주일 전인 지난 14일(3만9천172명)의 2.3배로 2주 단위 더블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신규 확진자 증가 추세 속에서 위중증 환자 수도 늘고 있다. 이날 위중증 환자 수는 196명으로 전날(177명)보다 19명 늘면서 두 달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하루 사망자는 25명이다. 경기 지역의 신규 확진자는 2만4천254명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여름철 재유행의 정점이 1~2주내로 도달할 수 있지만 그 규모는 기존 예상치였던 30만명 보다 적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 근거로 BA.2.75(일명 켄타우로스)변이 전파도 우려만큼 세지 않고, 4차 접종 참여도가 예상보다 높다는 점을 들었다. 한편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으로 접수된 1천787건의 사례 중 총 357건에 대한 피해 보상을 결정했다. 기각된 사례로는 이상반응 발생 시점과 백신 접종 시기 간 개연성이 떨어지거나, 기저질환 및 백신과 관련 없는 합병증으로 이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이다. 노소연기자

신규 확진 다시 10만명대…일상방역 생활화 방안 발표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확진자가 10만명을 넘긴 가운데 정부가 일상방역 생활화를 위한 방안을 발표하며 ‘의무’보다 ‘자율’의 기조를 이어갔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0만285명으로 98일 만에 다시 10만명을 넘어섰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20일(7만6천379명)과 2주일 전인 13일(4만248명)과 비교해 각각 1.31배, 2.49배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177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25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2만7천214명이 신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이날 '일상 방역 생활화 추진 방안'을 추가로 발표했다. 해당 방안에는 ▲공직사회 휴가 복귀 시 신속항원검사 실시 ▲학원 원격수업 전환 권고 ▲가족 돌봄 휴가자 하루 5만원씩 최대 열흘 지원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일각에선 강제성이 없어 실천 가능성이 작아 보인다는 우려를 나타냈지만, 당국은 재유행 위기 극복을 위해 사회 전반의 일상 방역 생활화가 절실한 시점이라며 적극적인 홍보를 실시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유행 상황이 위중증·사망자 지표 악화로 번져 위기 징후가 발생하면 추가적인 대응 조치도 검토할 것이라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신약 개발과 백신 주권 강화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올해 ‘K-바이오·백신 펀드’를 5천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향후 1조원까지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노소연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