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 연속 1만명대로 집계된 가운데 정부가 고위험군에 대한 검사부터 진료, 치료제 처방까지 하루 안으로 진행하는 의료체계 구축에 나선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1만6천584명으로 전날(1만8천816명)에 이어 1만명대 수준을 유지했다. 금요일(발표일 기준)에 1만명대의 확진자 발생은 국내 오미크론 우세화 초기인 지난 1월28일(1만6천90명) 이후 17주 만이다. 또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20일(2만5천120명)보다 8천536명, 2주일 전인 지난 13일(3만2천440명)보다는 1만5천856명 감소했다. 위중증 환자는 207명, 하루 사망자는 40명이다. 경기도에선 3천56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는 전날(4천351명)과 비교해 782명, 1주일 전(6천7명)에 비해 2천438명 적은 수치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60세 이상과 같은 고위험군에 대한 의료 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검사와 진료, 치료제 처방이 하루에 이뤄지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고위험군을 지체 없이 감염병 전담병원에 입원하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정민기자
통상적으로 확산세가 커지는 목요일임에도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약 네 달만에 1만명대로 줄어든 가운데 정부가 확진자에 대한 지방선거 사전투표 시각을 28일 오후 6시30분으로 정했다.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2만3천956명)보다 5천140명 적은 1만8천816명이다. 보통 주 후반으로 갈수록 검사량이 늘어 확진자도 증가하는 현상과 달리 양성 판정을 받은 시민이 줄어든 것이다. 목요일(발표일 기준)에 확진자가 1만명대로 나온 것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초창기 기승을 부렸던 지난 1월 마지막 주 이후 17주 만이다. 더욱이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9일(2만8천124명)보다 9천308명, 2주일 전인 지난 12일(3만5천895명)보다는 1만7천79명 감소한 수치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243명으로 8일째 200명대가 유지됐고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34명이다. 경기도에선 4천351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평일에 4천명대의 도내 확진자 발생은 지난 1월27일(4천765명) 이후 119일 만이다. 이런 가운데 확진자들은 27일부터 이틀간 예정된 지방선거 사전투표에서 마지막 날인 28일 오후 6시30분부터 1시간30분 동안 투표를 할 수 있다. 선거 목적의 외출은 오후 6시20분부터다. 확진자는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 외에도 격리자 대상 투표안내 문자메시지, PCR·신속항원검사 양성 통지 문자메시지, 입원·격리 통지서 등을 지참해야 한다. 한편 정부는 올해 여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 과학적 방역체계를 구축하고자 질병관리청에 슈퍼 컴퓨터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정민기자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이틀 연속 2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해당 감염병 지정 병상 70%를 일반 병상으로 전환했다. 2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2만6천344명)보다 2천388명 적은 2만3천956명이다. 따라서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누적 확진자는 1천800만명(1천801만7천923명)을 돌파하게 됐다. 다만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8일(3만1천342명)보다 7천386명, 2주일 전인 지난 11일(4만3천909명)보다는 1만9천953명 각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수요일(발표일 기준)에 2만명대의 확진자가 나온 것은 지난 2월2일(2만267명) 이후 16주 만이다. 위중증 환자는 7일째 200명대인 237명이고 하루 사망자는 23명이다. 경기도에선 5천25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1주일 전(7천779명)보다 2천520명 줄어든 수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확진자가 감소하면서 일반 의료 체계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 달부터 전국 의료기관의 코로나19 병상 2만9천여개 중 70% 수준인 2만656개를 해당 감염병 지정에서 해제한 뒤 일반 병상으로 바꿨다. 이같은 조치에도 방역 당국은 올해 하반기에 발생할 수 있는 재유행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자평했다. 재유행 시 하루 확진자는 10만~20만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전국 7개 권역별 병상을 공동 활용하면 이를 감당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서다. 한편 정부는 내달 1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난 3월 대통령 선거에서 발생한 확진자 투표의 혼선을 방지하고자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질병관리청이 신속히 협의할 수 있는 연락망을 구축했다. 이정민기자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두 배 이상 늘어난 가운데 지난주 모든 권역의 관련 위험도가 측정 이후 첫 ‘낮음’ 단계로 평가됐다.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 9천975명보다 2.64배 늘어난 2만6천344명이다. 주말과 휴일이 지나가면서 검사를 희망하는 시민이 늘어 확진자도 덩달아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전날 같은 시각 기준 검사량은 2만8천536건에서 이날 12만6천783건으로 급증했다. 그러나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7일(3만5천104명)과 비교해 8천760명, 2주일 전인 지난 10일(4만9천921명)보다 2만3천577명 각각 적은 것으로 산출되는 등 감소세가 확연하다. 위중증 환자는 6일째 200명대인 232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지난 2월7일(13명) 이후 106일 동안 가장 적은 19명이다. 경기도에선 1주일 전(9천396명)보다 3천374명 적은 6천22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1월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이후 도입된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에서 지난주(5월15∼21일)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등 모든 위험도는 ‘낮음’으로 측정됐다. 해당 평가 기준은 ▲매우 높음 ▲높음 ▲중간 ▲낮음 ▲매우 낮음 등 5단계로, 전국 등 3개 지표가 모두 이 같이 평가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럼에도 방역 당국은 신규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기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20% 강한 세부계통 변이인 ‘BA.2.12.1’ 13건(누적 32건)이 추가로 발견되면서다. 여기에 ‘BA.4’ 1건(누적 2건), ‘BA.5’ 4건(누적 6건)도 검출된 실정이다. 감염자들은 모두 해외 귀국자다. 한편 방역 당국은 5세 미만에 대한 백신 접종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정민기자
전국에서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1만명 밑으로 떨어지면서 방역 당국이 현 상황을 안정적인 단계라고 평가했다.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1만9천298명)보다 9천323명 적은 9천975명이다. 확진자가 1만명 미만으로 줄어든 것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이 시작될 무렵인 지난 1월25일(8천570명) 이후 118일 만이다. 특히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6일(1만3천290명)과 비교하면 3천315명, 2주일 전인 9일(2만587명) 보다는 1만612명 각각 줄어든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5일 연속 200명대인 225명이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22명이다. 경기도에선 이날 2천666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지난 1월24일(2천917명) 이후 118일 만에 도내 확진자가 2천명대로 떨어진 것이다. 이와 관련,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주말 검사량 감소 영향으로 신규 확진자가 1만명 밑으로 떨어졌고, 감소세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며 “의료 체계도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신규 변이 바이러스 출현 가능성 탓에 재유행 시점이 앞당겨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국가인권위원회는 양성 판정을 받은 확진자가 PCR(유전자증폭) 재검사를 요구하면 다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한편 이날부터 국내 귀국 전 시행하는 검사가 PCR 검사 외에도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까지 허용됐다. 또 애초 전날까지였던 요양병원·시설에 대한 대면 접촉의 면회 기간이 이날부터 별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연장됐다. 이정민기자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일요일 기준 4달 만에 1만명대로 줄어든 가운데 방역 당국이 확진자 격리 의무를 4주 늘리기로 했다. 2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2만3천462명)보다 4천164명 적은 1만9천298명이다. 일요일(발표일 기준) 1만명대 확진자 발생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시작한 지난 1월30일(1만7천522명) 이후 16주 만이다. 뿐만 아니라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5일(2만5천425명)과 비교하면 6천127명, 2주일 전인 8일(4만46명)보다는 2만748명 각각 감소했다. 위중증 환자는 4일 연속 200명대인 299명이며 하루 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54명이다. 경기도에선 지난 21일 5천693명보다 1천427명 적은 4천266명의 감염사실이 이날 확인됐다. 도내 확진자가 4천명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1월26일(4천765명) 이후 115일 만이다. 이런 가운데 ‘포스트 오미크론’ 안착기 도입 여부를 두고 고심했던 방역 당국은 올해 여름 재유행 가능성을 염두에 둔 채 확진자에 대한 격리 의무를 4주 연장하는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다음 달 20일까지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은 자택에서 7일 머물러야 하는 조치를 받는다. 또 다음 달 예정된 중·고등학교 기말고사와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확진자와 의심 증상 학생도 시험을 볼 수 있게 학교가 별도의 고사실을 설치하거나 일반 학생과 등하교시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등의 조치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함께 지난달 30일부터 이날까지였던 요양병원 대면 접촉 기간을 당분간 늘리기로 했다. 특히 백신 미접종자도 의사 소견 등을 토대로 면회를 허용하며 4인 이상 만남도 가능케 했다. 이정민기자
경기도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나흘 만에 5천명대로 감소했다. 경기도에 따르면 21일 0시 기준 20일 하루 도내 코로나19 확진자는 5천693명이다. 이는 전날(6천7명) 보다 314명 줄어든 것이다. 도내 확진자는 지난 16일 9천90명, 17일 7천779명, 18일 6천863명, 19일 6천7명으로 집계되며 감소세를 보여왔다. 사망자의 경우 9명이 발생해 전날(8명)보다 1명 늘었다. 31개 시·군별 확진자를 보면 수원시(553)와 용인시(535명)가 500명대였고 이어 고양시(431명), 성남시(397명), 화성시(362명), 부천시(303명) 등의 순이다. 가평군(28명)과 여주시(29명) 등 10개 지역에선 100명 미만으로 확진자가 발새앴다. 한편, 도내 코로나19 전담 병상 가동률은 13.5%로 전날(12.5%)보다 1.0%p 올라갔으며 이 가운데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15.0%로 전날(12.7%)보다 2.3%p 증가했다. 재택치료 중인 확진자는 4만1천294명으로 전날(4만1천350명)과 비교해 56명 줄며 엿새째 4만명대 초반에 머물렀다. 김은진기자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들이 두 배 이상 급증한 가운데 새로운 세부 계통의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또 검출됐다.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1만3천296명)의 2.64배 수준인 3만5천72명이다. 휴일이 지나고 검사를 희망하는 시민이 늘어 확진자 역시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 16일 검사건 수는 5만1천610명이었으나 이날에는 13만5천339건으로 조사됐다. 다만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10일(4만9천923명)보다 1만4천851명, 2주일 전인 지난 3일(5만1천118명)보다 1만6천46명 각각 적은 것으로 집계되는 등 감소세가 확연하다. 더욱이 이번 확진자는 화요일 기준(발표일) 지난 2월1일(1만8천333명) 이후 15주 사이 가장 적은 것으로 산출됐다. 위중증 환자는 8일 연속 300명대인 333명이며,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27명이다. 경기도에선 9천9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는 1주일 전(1만1천334명)보다 2천244명 적은 수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오미크론 세부 계통 변이 바이러스인 ‘BA.4’, ‘BA.5’ 등을 처음 발견했다. 해당 바이러스는 앞서 발견된 ‘BA.2.12.1’과 다른 것으로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유행하고 있으며 전파력과 같은 세부 정보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방역 당국은 해당 바이러스가 중증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BA.4 1건은 해외 유입사례이며 BA.5 2건은 국내 발생이다. 확진자들은 4차 접종을 완료했으며 별다른 증상을 겪지 않고 있다. 한편 방역 당국은 지난주(5월2~8일) 전국의 코로나19 위험도를 ‘중간’ 단계로 평가했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자 발생이 104일 만에 1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방역 당국은 확진자 격리 의무가 해제되는 단계인 ‘안착기’ 시점을 20일 결정하기로 했다. 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1만3천296명 늘어 누적 확진자 수는 1천779만5천357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인 2만5천434명보다 1만2천138명 줄어들었으며, 지난 2월1일 이후 104일 만에 처음으로 신규 확진자가 1만명대로 감소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지난 10일 398명을 기록한 이후 일주일 연속 300명대를 유지했다. 사망자 수는 35명으로 전날(48명)보다 13명 적어졌다. 경기지역에선 3천57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는데, 4천명 미만은 지난 1월24일(2천917명) 이후 111일 만이다. 아울러 방역 당국은 오는 23일로 잠정 예정된 ‘포스트 오미크론’ 안착기 전환 여부와 관련해 전문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한 뒤 중대본 협의를 거쳐 오는 20일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한편 정부는 북한의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북한의 경우 예방접종이나 진단 검사 시스템을 거의 갖추지 못해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용보다 훨씬 더 심각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대북 지원과 관련, 정부는 상당한 여유분의 백신을 비축해 놓고 있어 남북 간 협의가 이뤄진다면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치료제는 자국민 사용 우선권을 명확히 한 뒤 조치해야 한단 입장을 밝혔다. 이정민기자
하루 동안 전국에서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일요일 기준 약 석달 만에 3만명 아래로 줄어든 가운데 방역 당국이 12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치료제를 확대 처방한다. 1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2만9천581명)보다 4천147명 적은 2만5천434명이다. 1주일 전인 지난 8일(4만48명)보다 1만4천614명, 2주일 전인 이번달 1일(3만7천760명)에 비해 1만2천326명 각각 감소했다. 뿐만 아니라 일요일(발표일 기준)에 하루 확진자가 3만명 미만으로 발생한 것은 지난 1월30일(1만7천522명) 이후 15주 만이다. 하루 확진자 규모는 지난 4일 이후 12일째 5만명 이하를 유지하는 등 감소세가 확연하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338명으로 엿새째 300명대를 이어가고 있으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48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 6천982명보다 1천182명, 1주일 전인 지난 8일 8천553명보다는 2천753명 각각 감소한 5천800명이 이날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16일부터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와 머크앤드컴퍼니(MSD)의 ‘라게브리오’의 처방 대상을 12세 이상 기저질환자, 18세 이상 기저질환자로 각각 넓힌다. 현재까지 먹는 치료제의 처방 대상은 60세 이상, 면역 저하자, 4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이다. 기저질환은 당뇨, 심혈관질환, 만성 신장질환, 만성 폐질환, 체질량지수 30㎏/㎡ 이상, 신경발달장애 등을 의미한다. 이번 확대 대상인 12·18세 이상 기저질환자를 비롯해 60세 이상 등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뒤 이러한 치료제를 처방받을 수 있다. 한편 북한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거 발생하면서 정부는 이번주 초 방역 및 환자치료 지원을 공식 제의할 방침이다. 이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