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 6천명대…10·20대 확진 비율 급증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소폭 상승해 6천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코로나19 발생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10대와 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6천172명 증가해 누적 확진자 수는 1천817만4천88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5천22명)보다 1천150명 늘어났다. 그러나 일주일 전인 지난 5월31일(1만7천191명)과 비교하면 1만1천19명 감소한 수치다. 6월 들어 1만명 안팎으로 발생하던 신규 확진자 수는 사흘째 1만명대 미만을 기록하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전날(129명)보다 12명 줄어든 117명으로 11일 연속 100명대를 유지했다. 사망자는 20명 추가 발생해 현재까지 2만4천299명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었다. 아울러 경기도에선 1천43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이틀째 1천명대가 지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유행이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며 경기 지역 포함 전국에서 코로나19 위험도가 3주 연속 ‘낮음’으로 평가됐다. 지난 3월 1~5주간 ‘매우 높음’ 단계가 유지됐던 주간 위험도는 지난달 둘째 주부터 ‘중간’ 단계로 떨어지더니, 셋째 주 이후 3주 연속 전 지역에서 ‘낮음’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또 모든 연령대에서도 하루 평균 코로나19 발생률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이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연령대는 10대와 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하루 평균 코로나19 발생률은 ▲20대 40.1명 ▲10대 34.8명 ▲10세 미만 27.4명 ▲30대 26.6명 ▲40대 21.4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강한 세부 계통 변이 35건도 국내에서 새로 확인됐는데, 미국을 중심으로 퍼지는 BA.2.12.1이 28건 발견됐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우세종이 된 BA.4와 BA.2가 각각 2건, 5건 검출됐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5천여명…백신 미접종자 격리 의무 8일부터 해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39일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상황에서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해외 입국자의 격리 의무도 8일부터 사라진다. 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5천22명으로 집계돼 누적 확진자 수는 1천816만8천708명을 기록했다. 이날 발생한 신규 확진자 수는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화되기 전인 지난 1월18일(4천68명) 이후 139일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이는 전날(9천835명)보다 4천813명 줄어든 것으로 이틀 연속 1만명 미만을 유지했다. 위중증 환자 수는 129명으로 전날(136명)보다 7명 줄어들어 지난달 28일부터 10일 연속 1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21명으로 직전일인 20명보다 1명 증가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에선 1천34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는데, 이는 일주일 전보다 130명 감소한 수치다. 아울러 이날부터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코로나19 재택치료 집중관리군의 전화 모니터링 횟수가 하루 두 차례에서 한 차례로 줄어든다. 또 격리 기간 중 60세 이상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의사와 두 차례 전화 상담을 하도록 한 비대면 진료 권고도 폐지된다. 방역 당국이 대면 진료가 가능한 외래진료센터가 늘어남에 따라 재택 진료체계를 대면 진료 중심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한편 해외 입국자 관리도 한 단계 간소화될 방침이다. 오는 8일부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지 않아도 해외에서 입국할 때 일주일간 격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변이 바이러스 유입이 확인되는 만큼 입국 전 PCR 검사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입국 후 3일 이내에 추가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정민기자

휴일 영향 신규 확진 1만명 미만…확진자 격리 해제 논의 착수

지방선거 휴일의 영향으로 하루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명 미만으로 집계된 가운데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격리 의무 해제 방안을 검토한다.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1만5천797명)보다 5천899명 적은 9천898명이다. 지난 1일 지방선거에 따른 휴일로 검사를 희망하는 시민이 감소하면서 양성 판정 사례도 적어진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26일(1만8천805명)보다는 8천907명, 2주일 전인 같은 달 19일(2만8천122명)과 비교하면 1만8천224명 각각 적은 것으로 산출됐다. 위중증 환자는 6일 연속 100명대인 176명이고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15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3천535명)보다 1천427명 감소한 2천108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전문가 TF팀을 구성, 확진자에 대한 격리 의무 해제 여부를 논의한다. 오는 19일 이러한 내용의 ‘포스트 오미크론’ 안착기가 다가오는 데 따른 조치다. 방역 당국은 3일 첫 회의 후 내주 최대 3회 논의를 거쳐 이와 관련한 기준을 오는 15일 혹은 17일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 지난달 23일 예정됐던 안착기 도입은 유행 상황을 고려한 방역 당국의 판단에 따라 4주 유예된 바 있다. 이와 함께 방역 당국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민간과 함께 코로나19가 임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한편 방역 당국은 아프리카 등에서 유행 중인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국내 시민을 확인할 경우, 격리 병상에서 치료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이틀 연속 1만명대…입국 검사 1회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이틀째 1만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해외 귀국자에 대한 검사를 1회로 하향 조정했다.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1만7천191명)보다 1천394명 적은 1만5천797명이다. 주 후반으로 갈수록 검사 희망자가 늘어 양성판정 사례도 급증하는 이른바 ‘주말 효과’가 사라졌음에도 수요일(발표일 기준)에 1만명대 확진자가 나온 것이다. 1만명대 발생은 지난 1월26일(1만3천4명) 이후 18주 만이다. 더욱이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25일(2만3천945명)보다는 8천148명, 2주일 전인 같은 달 18일(3만1천342명)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산출됐다. 위중증 환자는 닷새째 100명대인 188명이고 하루 사망자는 21명이다. 경기도에선 1주일 전(5천261명)보다 1천726명 많은 3천535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이날부터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온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검사를 2회에서 1회로 조정했다. 구체적으로 입국 후 6~7일 차 진행했던 귀국자에 대한 신속항원검사를 자가 신속항원검사 권고로 변경했다. 입국 1일 차에 시행했던 유전자증폭(PCR)검사도 ‘입국 후 3일 이내’로 완화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해외 귀국자는 입국 후 1일차에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6∼7일 차에 신속항원검사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했으나 앞으로는 3일 이내에 PCR 검사 1회만 받으면 되고, 6∼7일 차 신속항원검사는 의무에서 권고로 바뀐 것이다. 또 백신접종을 완료한 보호자와 동반 입국할 때 격리가 면제되는 미성년자의 대상 연령이 만 6세 미만에서 만 12세 미만으로 확대됐다. 이정민기자

주말 효과 끝… 확진 다시 3배 가까이 폭증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세 배 가까이 증가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대면진료 확대에 나섰다. 3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6천139명)의 2.8배 많은 1만7천191명이다. 검사량 감소에 따른 확진자 감소를 의미하는 이른바 ‘주말 효과’가 사라지면서 양성 판정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화요일 기준(발표일) 1만명대 확진자 발생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 초기인 지난 2월1일(1만8천333명) 이후 17주 만으로 감소세가 확연하다. 여기에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24일(2만6천341명)보다는 9천150명 적고, 2주일 전 17일(3만5천104명)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위중증 환자는 180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이틀 연속 9명이다. 경기도에선 3천77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전날(1천470명)에 비해 2천306명 늘었으나 1주일 전(6천31명)보다는 2천255명 줄어든 수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확진자가 격리 기간에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현재 6천446곳의 외래진료센터를 다음 달 6일부터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대면진료가 확대되면서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에 대한 전화 모니터링은 현행 2회에서 1회로 조정된다. 한편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강한 세부계통 변이 ‘BA.2.12.1’ 등 34건이 국내에서 추가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방역 당국은 오미크론 유행 당시 포화상태에 다다랐던 화장시설에 대해 재정비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세계 각국에서 확산 중인 ‘원숭이두창’에 대한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 단계로 발령하고 이를 2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정민기자

일일 확진자 6천명대로 ‘뚝’…“환기 어려운 여름철, 재유행 가능성”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6천명대로 급감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다가오는 여름 재유행 가능성을 전망했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 1만2천654명보다 절반가량으로 줄어든 6천139명이다. 주말과 휴일 사이 검사를 희망하는 시민이 적어 양성 판정 사례까지 감소한 영향이 적용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23일(9천971명) 이후 다시 1만명 미만으로 집계됐으며 2주일 전인 지난 16일(1만3천290명)과 비교하면 7천151명 적은 수치다. 더욱이 6천명대 신규 확진자가 나온 것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초창기인 지난 1월21일(6천76명) 이후 129일 만이다. 위중증 환자는 사흘째 100명대인 178명이고 하루 사망자는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행됐던 지난해 11월1일(9명) 이후 약 7개월 만에 한자릿수로 떨어졌다. 경기도에선 전날 2천839명보다 1천369명 감소한 1천47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여름철 에어컨 사용으로 실내 환기 환경 조성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재유행 가능성을 예측했다. 특히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매년 여름철에 확진자 발생 그래프가 상승 곡선을 그렸던 전례를 감안하면 올해 역시 비슷한 양상이 나타날 거라고 내다봤다. 다만, 유행 규모에 대해선 크지 않을 거라는 게 방역 당국의 판단이다. 한편 방역 당국은 가동률이 3.6%에 그친 전국 12개 권역별 생활치료센터 운영을 31일부터 중단하되, 해외 입국 외국인을 위한 생활치료센터 1곳만을 남겨둘 예정이다. 또 고시원 거주자 등 격리 치료가 어려운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대책도 마련 중이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나흘째 1만명대…방역 당국, 원스톱 의료체계 구축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연이어 1만명대로 집계된 가운데 방역 당국이 고위험군에 대한 원스톱 형태의 의료체계를 구축한다.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1만4천398명)에 이어 1만명대인 1만2천654명이다. 1만명대 확진자는 지난 26일부터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신규 확진자는 일요일 기준(발표일)으로 지난 1월30일(1만7천522명)부터 18주 사이 가장 적은 수치다. 또 1주일 전인 지난 22일(1만9천289명)보다 6천635명, 2주일 전인 지난 15일(2만5천425명)과 비교하면 1만2천771명 각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위중증 환자는 이틀째 100명대인 188명이며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전날(36명)보다 17명 적은 19명이다. 경기도에선 1주일 전(4천266명)보다 1천427명 적은 2천839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에 대해 하루 안으로 검사부터 진료, 치료제 처방까지 완료하는 시스템을 만든다. 또 상태가 위중한 고위험군을 감염병 전담병원에 바로 입원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서울 중구 방산동 미군 공병단 부지에 중앙감염병전문병원을 신설한다. 해당 병원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발생에 대응해 단순한 임상 진료 기능 이상의 선제·체계적 위기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착공 시기는 2024년이다. 한편 방역 당국은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통합하는 등 빅데이터 플랫폼을 만들어 과학적 근거 기반의 의료 체계를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이정민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