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더(The) 경기패스’, 인천시의 ‘I-패스’,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 등 수도권 3개 지자체의 대중교통 지원사업이 ‘양자택일’ 구도를 형성했다. 경기·인천은 정부가 전국 대중교통에 적용하는 교통비 환급 사업 ‘K-패스’에 주민 혜택을 추가하는 구조를 채택, 각 지역민 입장에서는 ‘K-패스 확장판’과 ‘서울 교통수단 전용 정기권’이라는 선택지로 압축되기 때문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유정복 인천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은 22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토부-수도권 지자체 대중교통 요금 지원 정책 합동 기자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수도권 3개 단체장은 각 지자체가 추진 중인 대중교통 사업의 특징과 장점을 소개했다. 경기도와 인천시는 K-패스에 무제한 교통비 환급, 환급 비율 및 대상 연령 확대를 추가 적용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는 일반 버스, 지하철뿐 아니라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까지 다양한 교통수단이 혼재돼 있다”며 “경기패스는 1천400만 인구와 31개 시·군별 다양한 교통 패턴, 지역 특성을 모두 반영해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 시장은 “교통 편익과 선택권 확대라는 대원칙하에 기후동행카드는 광역버스를 적용해 8월부터, K-패스를 접목한 I-패스는 5월 일반버스와 지하철에 시행한다”고 말했다. 오 시장도 신분당선, GTX, 광역버스를 제외한 서울 대중교통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를 소개하고 상반기 저렴한 청년 정기권을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기권 공개 방침을 밝혔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3개 지역 주민은 개인 교통수단 이용 패턴에 맞춰 지역별 대중교통 정책을 선택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정치일반
황호영 기자
2024-01-2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