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한 식수댐 왜 거론하나

식수전용댐 건설에 대한 논란이 다시 일고 있다. 경기도가 이미 정부와 여당이 백지화한 식수전용댐 건설을 위해 경기개발연구원에 용역을 발주키로한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당초 국민회의가 지난해 9월 대통령에게 보고해 검토에 들어갔던 식수댐문제는 수몰로 인한 대규모 환경파괴와 집단민원유발 등 숱한 문제점을 안고 있어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다하여 스스로 포기한 묵은 과제다.

그런데도 경기도가 물부족 사태에 대비한다며 식수댐 건설에 미련을 갖고 다시 시도하는 것은 도 당국의 환경을 보는 시각과 물관리정책의 기획능력에 문제가 있지 않나 의심케 한다. 환경부가 지난 9월 팔당호 수질을 1급수로 개선하기 위해 북한강·남한강·경안천변 양안 0.5∼1㎞를 수변구역으로 지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식수댐을 건설해 팔당식수취수원을 이전하려는 것은 팔당상수원을 아예 포기하려는 의도로 정부의 환경정책과도 어긋나는 일인 것이다.

경기개발연구원은 지난 94년 경기·강원지역에 8곳의 식수전용댐을 건설하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바 있어 이번 용역에서도 같은 내용의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 당국은 작년 식수댐 건설을 검토한 청와대가 이를 백지화한 이유들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한강상류에 수억톤에 달하는 댐을 5∼7개 건설할 만한 입지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그러나 만일 무모하게 한강 최상류에 댐을 건설하고 거기서 원수를 취수한다면 댐아래의 강물이 말라버리는 부작용이 생길 것은 뻔한 일이다. 그렇게 해서 팔당 상수원을 포기하면 주변에 공장과 러브호텔 음식점이 제한없이 들어설 것이고, 한강수계는 아예 하수도로 변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 당국은 식수댐 건설의도가 상수원 보호정책의 실패로 수질이 악화일로에 있는 팔당상수원을 포기하고 그 주변을 개발하려 한다는 의혹을 받아선 안된다. 댐 건설 입지가 이미 고갈돼버린 상황에선 팔당호의 준설 등 담수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수요관리 중심의 획기적인 물정책의 전환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당국의 신중한 재검토가 있기를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