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닝을 추방합시다’
8일 오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아주대학교 캠퍼스에는 커닝추방을 호소하는 대자보가 나붙어 오가는 학생들의 발길을 붙들어 매고 있었다.
대학의 볼썽사나운 문화의 하나인 커닝 추방운동에 나선 주인공들은 이 대학 한국기독학생회(IVF), 학생신앙운동(SFC).
기말고사를 앞둔 시점에서 학생들이 공개적으로 커닝추방을 주장하고 나선 경우 보기 드문일.
“어느새 노트가 돼버린 강의실 벽과 책상, 거기에 커닝페이퍼, 그리고 커닝 hands... 우리 주변에선 커닝을 누구나 한번쯤 해봄직한 낭만이며 특권이라고 합리화하고 있습니다”
커닝문화에 대한 현주소를 따끔하게 꾸짖는 이 대자보 내용에 학생들은 관심어린 표정이 역력했다.
학생들은 대자보에서 “커닝은 아무리 낭만이라는 허울을 둘러대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커닝이 가진 불의의 심각성에 대해 한번도 조민조차 해보지 않는 우리의 양심이 큰 문제”라고 개탄했다.
이를 지켜보던 한 학생은 “커닝을 하지 않으면 나만 손해본다는 피해의식 때문에 그동안 커닝을 해본적이 있다”며 “지킬 것은 스스로 지키는 풍조가 아쉽다”고 말했다. 사실 대학가의 커닝문화는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란게 학생들의 설명.
시험에 나올 내용을 미리 책상에 적거나 적을 공간이 없을 경우 시험당일 감독관 눈치를 살피며 서랍에 책을 펴놓고 시험을 치루는 사례가 다반사로 이뤄져 왔다.
화생공학부 김모군(23)은 “부정이 당연시 되고 있는 게 오늘의 현실”이라며 “무엇보다 학생 개개인의 의식전환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상아탑에서 도덕적 해이의 한 단면으로 치부되던 커닝문화 추방에 나선 이들 학생들의 작은 몸부림에 우리 대학의 미래가 엿보이는듯 했다.
/심규정기자 kjshi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