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지게 됐었다

먼저 밝혀 둔다. 나도 수원 장안구 유권자다. 유권자의 한 사람으로 1번 한나라당 박찬숙 후보에게 투표했다.

 

민주당 측에 걸리는 얼굴이 있어도, 생판 모른 사람에게 표를 준 덴 이유가 있다. 이유는 딱 하나다. 정세균 대표 체제의 민주당은 걸핏하면 등원을 거부하거나 국회 운영을 마비시키곤 했다. 길거리에 나서길 일삼곤 했던 장외 전문 정당은 국회 의석을 달라고 할 자격이 원칙적으로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결과는 한나라당이 고배를 들었다. 이변이다. 2번 이찬열 민주당 후보가 10·28 재선거 당선의 영광을 안은 이유는 뭘까, 당선자에게도 물론 미래는 있을 것이다. 아직은 젊으니까, 그러나 지금 당장의 인물로 보아서는 박찬숙과 게임이 안 되는 사람이다. 선거 초반까지도 판세가 그렇게 돌아갔다.

 

박찬숙이 당한 역전패는 개인의 잘못이 아니다. 한나라당이 민주당과 이찬열에게 승리를 진상한 졸전에 기인한다. 즉 박찬숙의 패배이기보단 한나라당의 패배다.

 

우선 중앙당의 지원을 돌아본다.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가 들락거리며 발 벗고 나섰다지만, 하루 24시간 머물며 연일 뛰어다닌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의 전력투구를 당해내기란 역부족이었다. 유권자의 인지도며 파워에서도 단연 손학규가 앞섰다.

 

손학규는 한나라당을 탈당한 변절자이긴 하다. 그런데 이번에 이런 게 확인됐다. 경기도지사로 있을 때 직·간접으로 연계됐거나 도움을 받았던 지역사회의 상층구조에선 만나는 것도 꺼린 염량세태를 보인 반면에, 개인적 이해 관계가 아무것도 없었던 하층구조에서는 정치적 지지 여부를 떠나 그래도 전직 도지사의 예우로 환대했다는 사실이다.

 

재선거캠프에서도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확연히 달랐다. 한나라당 캠프는 응집력이 약했던 데 비해 민주당 캠프는 응집력이 강했다. 한나라당은 머리만 많으면서 손발은 계보별로 제각기 놀아 애만 썼을 뿐,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그러나 민주당 캠프는 머리부터 손발까지 일사불란하여 사생결단으로 뛰었다.

 

심지어 한나라당은 선거캠프와 후보자 사이가 불신의 관계인 것으로 짐작되는 흔적이 역연했다. 캠프와 후보자와의 엇박자 사례가 빈발했다. 캠프의 틈새 마찰음이 바깥까지 소리났다. 민주당은 달랐다. 캠프와 후보자가 선거운동 전반을 톱니바퀴처럼 짜임새 있게 맞물리며 돌아갔다.

 

한나라당의 전략 공천이 진성 당원의 이탈이나 방관을 유발한 것도 패인의 하나다. 낙하산 공천에 “그럼, 그동안 지역을 지킨 우린 뭐냐?”는 것이 지역 당원들의 적잖은 불만이었다. 상당수가 민주당 캠프로 이동한 이유다.

 

낙하산 공천을 받은 당자는 박찬숙 후보다. 그는 이 점에서 고전했으면서도 떳떳하게 싸웠다. “나는 선거공약 이외엔 개인적 약속은 아무것도 해줄 수 없다”며 조건부 선거운동 제의를 사절했다. 그런 마음으로 돕겠다면 아예 그만두라는 식이었다. 캠프의 어느 낙천자는 누군가와 무슨 뒷자리 약조가 있었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그 낙천자는 영향력도 의심스럽고 진정성은 더욱 미궁이었다. 이도 캠프와 후보가 소원했던 이유의 하나일 것 같다.

 

이찬열 민주당 후보가 텔레비전 토론에서 박찬숙 한나라당 후보에게 4대강을 들고 나온 것은 실책이었다. 지역구와 무관한 정치공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물이라곤 수원천과 만석공원 저수지밖에 없는 장안구에 4대강 이야기는 생뚱맞은 소리인 것이다. 정치공세 논쟁으로 말하면 이찬열이 평생 말로 먹고 살아온 박찬숙을 당해낼 리 없다.

 

그런데도 박찬숙이 지고 이찬열이 이겼다. 원인을 이렇게 집약할 수 있다. 한나라당은 정치망으로 표를 잡고, 민주당은 저인망으로 표를 긁었다. 정치망은 물고기가 비껴가 놓치기도 한다. 그러나 저인망은 밑바닥까지 훑는다. 정치망은 물고기가 걸리길 기다리지만, 저인망은 물고기에게 다가간다. 민주당의 저인망식 표밭 갈이가 바닥 정서를 얻는 데 주효한 것이 이긴 원인이다.

 

정권을 빼앗긴 민주당은 먹을 게 없어 배가 고파선지 단결이 잘 되는 데 비해, 정권을 빼앗은 한나라당은 배가 부르도록 먹을 것만 찾아서인지 단결이 잘 안 되는 것이다. 내년 6·2 지방선거가 8개월 남았다.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