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인턴제’ 등돌린 젊은층

“취업에 도움 안돼” 지원 기피… 지자체 절반이상 정원미달

청년층 실업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인턴사업이 전체 시·군 중 절반이 모집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등 젊은 층으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8일 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1년간 직장생활 경험이 6개월 미만인 만 29세 이하 대졸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올해 27억8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총 1천456명의 청년인턴을 채용하기로 하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중 상반기에 전체의 75%인 1천92명, 하반기에 나머지 25% 가량인 364명 채용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도를 포함해 31개 시·군이 지난달 11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접수를 받은 결과, 목표 정원을 채운 곳은 수원·고양·부천·남양주시 등 15개 시·군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도와 나머지 16개 시·군은 정원이 미달됨에 따라 도는 105명 모집에 64명만 신청해 오는 12일까지 추가 접수를 받고 있다.

 

또 과천시도 8명 모집에 5명이 지원했으며 연천군도 15명 모집에 6명이 미달되는 등 상당수 시·군에서 신청자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처럼 행정인턴사업의 지원이 저조한 것은 젊은 구직자들이 행정인턴이 실질적으로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반 기업체와 달리 행정인턴은 정규직 전환 없이 경력도 인정되지 않는데다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일보다는 단순업무에 치중해 단기간 아르바이트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정부가 인턴에 안주하는 것을 막기위해 지난해 월 110만원씩 11개월 진행하던 인턴사업을 올해에는 기간은 5개월, 보수는 월 64만원으로 줄인 것도 구직자들의 외면을 불러 온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참여가 저조한 것은 졸업, 취업 시즌이기 때문이지 인턴제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며 “3, 4월이 되면 신청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그때까지 추가 모집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