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주도 방식 전환 필요”
인천 시민들의 자원봉사 참여 활성화를 위해 현재 공무원 직영체제인 동구·강화군 자원봉사센터를 민간주도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제19조(자원봉사센터의 설치 및 운영)에 의해 시 자원봉사센터를 비롯해 중·남·남동·서·연수·부평·계양구와 옹진군 등 모두 8개 구·군 자원봉사센터가 민간 또는 민·관 혼합직영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동구·강화군은 아직도 각각 주민생활지원실과 주민복지과 내 자원봉사팀이 운영하는 등 공무원 직영체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무원 직영체제의 경우 각종 자원봉사 관련 정책들을 세우거나 예산이나 각 기관 및 단체 등과의 연계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자원봉사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전문적이지 못하거나 다양성과 창의성 등이 떨어진다.
공무원들의 보직 순환으로 업무의 지속성도 떨어지고 관 주도 운영시 정치적인 오해의 소지가 높아 자칫 자원봉사 취지마저 퇴색될 수 있다.
특히 동구·강화군은 자원봉사 등록인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아 시민들의 자원봉사 참여열기는 높지만, 봉사자 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인력과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부족,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봉사자는 적은만큼 자원봉사분야 확대가 시급하다.
이 때문에 동구·강화군 자원봉사센터를 서둘러 민간 주도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간 주도로 바뀔 경우 대부분 자원봉사에 다양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 경험 등을 갖춘 인력이 구성돼 프로그램 연구·개발은 물론 시민들이 체감하고 공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시민단체나 사회복지기관 등 직접 연관된 관리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쉬워 시민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김태미 시 자원봉사팀장은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등 국제행사에 자원봉사센터 역할과 기능 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만큼, 지역사회봉사활동 구심체 역할을 하는 전문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동구·강화군과 운영방식을 바꾸는 문제를 계속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