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강화군 자원봉사센터 ‘시민 참여 활성화’

“민간 주도 방식 전환 필요”

인천 시민들의 자원봉사 참여 활성화를 위해 현재 공무원 직영체제인 동구·강화군 자원봉사센터를 민간주도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제19조(자원봉사센터의 설치 및 운영)에 의해 시 자원봉사센터를 비롯해 중·남·남동·서·연수·부평·계양구와 옹진군 등 모두 8개 구·군 자원봉사센터가 민간 또는 민·관 혼합직영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동구·강화군은 아직도 각각 주민생활지원실과 주민복지과 내 자원봉사팀이 운영하는 등 공무원 직영체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무원 직영체제의 경우 각종 자원봉사 관련 정책들을 세우거나 예산이나 각 기관 및 단체 등과의 연계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자원봉사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전문적이지 못하거나 다양성과 창의성 등이 떨어진다.

 

공무원들의 보직 순환으로 업무의 지속성도 떨어지고 관 주도 운영시 정치적인 오해의 소지가 높아 자칫 자원봉사 취지마저 퇴색될 수 있다.

 

특히 동구·강화군은 자원봉사 등록인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아 시민들의 자원봉사 참여열기는 높지만, 봉사자 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인력과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부족,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봉사자는 적은만큼 자원봉사분야 확대가 시급하다.

 

이 때문에 동구·강화군 자원봉사센터를 서둘러 민간 주도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간 주도로 바뀔 경우 대부분 자원봉사에 다양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 경험 등을 갖춘 인력이 구성돼 프로그램 연구·개발은 물론 시민들이 체감하고 공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시민단체나 사회복지기관 등 직접 연관된 관리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쉬워 시민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김태미 시 자원봉사팀장은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등 국제행사에 자원봉사센터 역할과 기능 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만큼, 지역사회봉사활동 구심체 역할을 하는 전문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동구·강화군과 운영방식을 바꾸는 문제를 계속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