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일화(故事 逸話)

예양은 중국의 옛 진(晋)나라 사람이다. 범씨와 중행씨를 섬겼으나 명성을 얻지 못하다가 지백을 섬겨 중용되면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조양자가 지백을 멸해 쫓기는 몸이 됐다. 예양은 이렇게 말했다. “아! 뜻 있는 자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죽고, 여성은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용모를 아릅답게 꾸민다. 지백이 나를 알아 주었으니, 나는 반드시 지백을 위하여 원수를 갚겠다”고 했다.

 

이래서 변성명한 채 궁중의 변소 일을 하는 죄수로 가장해 들어가 비수를 품고 양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렸다. 마침내 변소를 들르는 양자가 이상하게도 가슴이 두근거려 수상히 여긴 일꾼을 붙잡아 신문한 끝에 예양임을 알았다. “지백을 위해 원수를 갚으려고 했다”는 예양의 자백에 좌우에서 주살을 권했으나 양자는 “의로운 사람이다. 내가 조심해서 피하면 된다”며 풀어줬다.

 

그러나 예양은 몸에 옻칠을 해 피부병 환자를 가장, 숨어다니다가 양자가 다니는 길목의 다리 밑에서 기다리며 기회를 노렸다. 하지만 이번 역시 양자가 탄 말이 뭣에 놀란듯이 하여 살피니 예양이 숨었음을 알아 그를 붙잡아 꾸짖었다. “그대는 전에 범씨와 중행씨를 섬기지 않았나, 그런 범씨와 중행씨를 지백이 멸했는데 어찌하여 범씨와 중행씨는 생각지 않고 그들을 멸한 지백만을 위해 나를 죽여 원수를 갚으려 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예양은 “나는 분명히 범씨와 중행씨를 섬겼으나 그들은 날 범인(凡人)으로 대우했습니다. 그래서 나 또한 범인으로 보답했습니다. 그러나 지백은 저를 국사(國士)로 특별히 대우하였기 때문에 나 또한 국사로서 그에게 보답코자 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양자는 탄식하면서 이리 말했다. “아, 아깝도다. 그대가 지백을 위해 충의를 다했다는 명예는 이미 성취했다. 과인도 더는 너를 놓아줄 수가 없구나!”라고 하였다. 양자는 예양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 자신의 의복을 내려주자, 예양은 그 의복을 벤 것으로 죽은 주군의 원수를 갚은셈 치고 그 자리에서 자결했다.

 

염량세태의 무상함에 느낀 바가 있어 사마천의 ‘사기’(史記) 중 한 대목을 여기에 옮겼다.

/임양은 본사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