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단체장 반대로 축소 또는 중단 가능성…"국책사업이라 불만 표출 힘들어"
퇴출공포에 시달리고 있는 건설사들이 최근 걱정거리가 하나 더 늘었다. 6.2 지방선거 이후 지역 단체장 구도가 여소야대로 재편되면서 세종시 문제에 이어 4대강 사업도 기존 정부 방침대로 계속 될 수 있는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4대강 사업의 경우 낙동강을 끼고 있는 경상남도의 김두관 도지사 당선자가 반대를 하고 있고 금강의 안희정 충남도지사 당선자, 이시종 충북도지사 당선자, 이광재 강원도지사 당선자 등이 반대입장을 밝히고 있다.
대형건설사들은 평균 2개 구간을 맡아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현재 진척율이 25~30%에 이르고 있다. GS건설은 낙동강 함안보와 금강 부여보 공사를 맡고 있는데 공사가 각각 27,28% 정도 진척됐다.
대우건설은 금강의 금남보와 낙동강 칠곡보 공사를 맡고 있으며 SK건설은 낙동강 합천보와 금강의 금강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낙동강 달성보와 한강 강천보 공사, 삼성물산은 한강 여주보 공사, 대림산업은 낙동강 강정보와 한강 이포보 공사를 각각 맡고 있다.
4대강 공사는 공공공사여서 마진폭이 크지는 않다. 그러나 지난해 극심한 주택경기 침체 속에서 4대강 공사는 건설사들에게 매출확대라는 단비 역할을 했다. 여기에 공공공사는 현금으로 기성고가 지급되기 때문에 건설사 현금흐름 개선에도 한 몫을 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4대강 공사가 축소될 경우 건설사 매출 확대와 현금흐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업체 특성상 이익을 크게 보지 못하더라도 장비와 인력을 쉬지 않고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4대강 공사에 참여했다"며 "4대강 공사가 중단되거나 축소된다면 건설업체들이 당연히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 수주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4대강 사업마저 축소된다면 일감 자체가 줄어드는 것인만큼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러다 4대강 사업도 행정수도 이전한다는 정부 말만 믿고 건설사들이 땅을 샀다가 돈만 묶인 세종시 꼴 나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건설사들의 이같은 하소연을 밖으로 내뱉기는 힘든 게 현재의 상황. 한 건설사 관계자는 "국책사업인 4대강 사업에 대해 시공사에 불과한 건설사들이 정부나 지자체에 대해 이래라 저래라 하기는 불가능하다"며 "4대강 사업이 축소된다 하더라도 발주처에 대해 시공사가 '클레임'을 제기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6.2 지방선거에서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야당 단체장들이 대거 당선된 것은 국민의 뜻인데 건설사들이 이에 대해 의견을 피력할 경우 '국민의 뜻'을 거스르는 것처럼 비춰져 건설사 입장을 내놓기도 힘들다"고 털어놨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