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국 경제연구소장 주장
인천지역 산업계의 녹색경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강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세국 인천지속가능경제연구소 소장은 지난 23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인천 산업계 녹색 경영 활성화 세미나’에서 “기업들이 리더십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환경, 사회, 경제적 성과를 얻을수 있는 경영 전략인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며 “기업들이 현업과의 괴리를 최소화시킨 현장 밀착형 녹색 경영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전통 제조업의 경우 에너지 절감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녹색 에너지 개발 및 활용은 엄두도 못내고 있는 만큼 정부의 친환경 지원 정책이 강화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 소장은 “전통 제조업 지원시 일반적인 개별 지원보다는 청정가공단지 조성과 집단화 처리시설과 같은 공동시설 중심의 지원이 바람직 하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수도권대기환경특별법의 대기오염물질총량관리제(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먼지)에 의한 규제와 부과단가, 부과요율, 감면 및 면제조건 등에 대해서도 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정 소장은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