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싸다 옛말”… 10곳중 2곳 국내 복귀·제3국 이전 검토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2곳 이상이 임금 인상 부담 등으로 제3국으로 이전하거나 국내 복귀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같은 국내 기업들의 ‘탈 중국’ 현상은 현지 노동조합들의 활동이 많아지고 임금 인상이 가속화되면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전문 경영 연구기관인 IGM(이사장 전성철)이 인천을 포함한 전국의 중국 진출 기업 CEO 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일 발표한 ‘중국 진출기업 기업 운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15%가 임금이 저렴한 제3국으로의 생산기지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7%는 중국 사업장을 폐지하고 국내로 돌아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에 진출한 기업의 73%가 현지 최저 임금보다 20% 이상 얹어주고 있고 50% 이상 얹어주는 기업도 20%에 달했다.
중국의 저 임금 메리트에 대해서는 32%가 “국내 임금의 50%가 넘어가면 메리트가 없다”고 응답했고 “30%만 넘어도 운영이 어렵다”는 CEO도 22%를 차지했다.
그러나 63%는 “임금 인상에도 중국 사업장을 유지하겠다”고 밝혔고 중국 경제 성장세와 내수 시장 확대 등을 들어 “중국시장 매력이 여전하다”는 의견도 73%를 차지했다.
이같은 결과는 저 임금에만 의지했던 90년대 국내 기업들의 중국 진출 초기 당시와 달리, 상품 경쟁력과 현지 시장 적응력 등을 갖춰야 중국에서의 운영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지난 95년 중국 칭다오(靑島)에 진출한 D산업(남동산업단지) 관계자는 “90년대 중국의 저 임금에만 의존해 오던 기업 상당수가 변화되는 현지 노동법과 임금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중국 경제는 빠른 속도로 제조업 저 임금 구조에서 첨단업종 고임금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며 “경쟁력을 전제로 한 글로벌시장 차원에서 중국시장 접근을 분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제홍 기자 jhyou@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