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 경쟁력이다 <4> 철도명장 김용근씨
“레일 위를 열심히 달리다 힘들고 지친 모습으로 돌아온 기차의 때를 벗겨 내고 손을 봐 새 것처럼 내보낼 때의 보람은 말로 표현할 수 없죠.”
철도정비분야에서 최고로 손꼽히는 김용근 명장(56)이 철도와의 인연을 맺은 지도 30년을 훌쩍 넘겼다.
김 명장은 “먼저 이 길을 갈고 닦아놓은 선배들이 없었다면 지금 이 자리까지 오르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앞으로 많은 후배들이 저와 같은 보람을 찾을 수 있길 바랄뿐”이라고 말했다.
김 명장은 지난 1980년 2월 당시 철도청 서울공작창 전기차공장 정비원으로 입사, 현재는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차량관리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친지 권유로 우연찮게 철도정비에 발을 들인 김 명장은 철도가 주는 매력에 금새 빠져들었다.
그는 “어릴 적 꿈은 운동선수였지만 철도정비를 배우면서 뿌리를 내릴 천직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명장이 철도정비에 매진하면서 이뤄놓은 대표적인 성과는 품질관리와 품질개선.
그는 전기차량 작업공정을 수작업에서 기계화 및 자동화방식으로 변경하고 분산작업방식을 통합작업방식으로 개선하는 등 총괄적인 품질개선활동을 추진, 모두 4억2천100여만원을 절감했다.
한국철도공사 최초로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 출전, 각종 장치별 작업공정과 품질개선사례 등을 인정받아 대통령상도 3차례 받았다.
선진국 사례를 수집하고 국내 철도현장에 접목·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철도발전공로 표장, 대한민국 품질명장, 국무총리 표창 등도 수상했다.
하지만 그에게도 아쉬움은 있다. 철도명장의 끈을 이어갈 후배들이 많이 빠져나가고 있는 탓이다.
김 명장은 “111년 우리나라 철도역사를 통틀어 철도명장이 15명 밖에 안된다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자신이 노력한만큼 반드시 보답이 돌아오는 철도분야에서 많은 후배들이 꿈을 이룰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는 2012년 6월이면 정년 퇴임하는 김 명장은 퇴임하더라도 관련 분야에서 계속 자신의 기술을 갈고 닦을 계획이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