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이 반대하면 추모공원 조성을 제고할 거냐”는 질문을 받으면 순간 어린아이가 돼버린다. 마치 엄마가 좋냐, 아빠가 좋으냐는 질문을 받은 아이처럼 어쩔 줄 모르게 돼버리기 때문이다.
이 어려운 질문에 대한 답을 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고민을 했는지 모른다.
지난 10월 전화설문조사에서 안산시민의 75%가 추모공원 조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주민이 반대하면’이라는 전제는 피해갈 수 있지 않을까? 아니다. 그렇더라도 후보지역 인근 주민의 반대를 외면하고 시가 일방적으로 추진할 사업도 아니지 않은가.
안산시는 현재 74.5%의 화장율을 보이고 있으며 연간 1천737명이 화장을 하고 있고 화장장이 없어 시민들은 예약 및 비용에 대한 차별을 받으며 인근 수원, 성남으로 원정화장을 떠난다.
상을 당해 경황이 없는 와중에 예약까지 할 수 없어 4~5일장을 치르게 되는 고충이란 당해보지 않으면 알기 어려울 것이다. 안산시의 인구증가 추세는 2006년 이후 평균 인구 증가율은 하락하는데 비해 노인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아무리 고민을 해도 안산시에 추모공원은 필요한 시설이다.
그렇다면 입지 선정을 어떻게 해야 할까. 절차가 법으로 규정돼 있다면 이에 따라 차근차근 순서를 밟아 가면 쉽겠지만 현재는 추모공원 입지 선정에 대한 법적인 규정 및 절차는 마련돼 있지 않다.
그래서 만든 것이 ‘안산추모공원건립추진위원회’다. 화장장 건립에 대한 경험이 있는 사전문가들로 위원회를 구성, 합리적인 절차를 마련해 사업을 추진해왔다. 추모공원 조성사업에 있어 효율성 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과의 소통이다. 안산추모공원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내 지역에 조성되는 것을 반대하는 주민의 의사를 ‘님비’라고만 치부하고 밀어 부칠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무슨 이유로 반대하는 지 주민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자 한다.
이번 사업추진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안산추모공원의 조성’ 한가지만은 아니다. 이번 사업추진을 통해 주민의 의견을 듣고 대화하는 사례를 만들고 이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시민과 시와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지방자치 도입 20년이 된 지금의 지방정부에서는 지방자치를 더욱 성숙시켜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에 시는 지난 10월 안산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시민 토론회를 개최하고 11월에는 후보지 7개소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공청회를 개최했으며 12월 후보지역 주민과의 간담회를 추진하고 있다. 지방자치의 성숙은 시민과 지방정부와의 신뢰 없이 이룰 수 없는 목표일 것이다.
이에 가장 우려되는 사항은 정치권의 태도다. 꼭 필요하지만 누구나 기피하는 시설인 추모공원 조성사업은 정치논리가 철저히 배격되어야 한다. 내 지역구 인근에 추모공원이 건설되면 안 되겠다는 협소한 생각보다는 안산시 토지의 효율적 활용과 공정하고 합리적인 사업추진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주기 바란다. 더불어 후보지가 선정되면 인근지역 주민에게 제공 될 인센티브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수용해주기를 바란다.
후보지 선정 이후 지역주민에 대한 지원사항을 협의해 가는 과정 중에 가장 우려되는 것은 지원을 받는 주민과 지원에서 제외되는 주민간의 갈등이다.
최신 화장로를 살펴보면 고성능 집진장치의 장착 및 촉매 활용으로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 배출의 차단이 가능하다. 최신 화장로의 도입으로 건설되는 화장장은 환경피해가 없다. 환경피해가 있다면 피해 지역을 칼로 무 자르 듯 정리할 수 있겠지만 정서상의 피해를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만큼 주민에 대한 지원도 거시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기피시설을 수용하는 대신 그 지역발전도 함께 이룰 수 있는 지원, 현재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추모공원 후보지역 주민에 대한 인센티브는 혜택이라기 보다 시민의 행복을 위해 희생하는 지역주민에 대한 75만 안산시민 전체의 배려의 마음이라는 생각으로 접근해 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김철민 안산시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