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맞춤형 바이오의약품 개발 등 정부 “신성장동력 육성·지원 강화”

정부가 바이오업체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약개발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또 줄기세포 등 맞춤형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이와 함께 허가심사기간 단축을 위해 식약청 심사인력을 대폭 증원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정부는 2일 청와대에서 ‘바이오헬스 융합의 글로벌 산업화 전략’을 주제로 제88차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바이오헬스융합 분야를 핵심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이날 회의에서는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고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한 3대 핵심산업으로 선정된 콘텐츠, 바이오헬스, 시스템반도체 중 바이오헬스에 대한 추진전략이 제시됐다.

 

주요 추진전략으로는 맞춤형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성공모델 창출을 위해 줄기세포, 희귀의약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줄기세포 연구 지원을 위해 연구자 임상제도를 활성화하고, 줄기세포 등 세포치료제의 특성을 반영한 허가·심사기준을 개선할 예정이다.

 

희귀·난치병 치료제 개발 촉진을 위해 희귀의약품 지정대상을 확대하고 허가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를 위해 식약청의 심사전문인력 확충 등을 통해 심사기간을 단축할 방침이다.

 

바이오벤처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신약개발 목적의 초기임상시험 R&D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기술성·시장성 평가를 거쳐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벤처기업의 상장유지요건 특례를 ‘상장후 3년차 매출액 30억원 이상’에서 ‘상장후 4년차 매출액 30억원 이상’으로 완화하는 방안이 검토될 예정이다.

 

또 제약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방안도 나왔다.

 

제약기업들의 북미 등 선진국 시장 공략을 위한 협력채널을 확대하고 품목 인허가 등을 위한 컨설팅·정보제공을 강화할 예정이다.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지원 펀드를 조성, 해외임상·공장투자·마게팅기업 인수 등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이밖에 ‘IT융합병원 수출 산업화’를 적극 추진하고 의료비즈니스를 수출 전략산업으로 집중적으로 육성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전략적 타깃국가를 설정하고 병원운영에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 IT를 융합한 맞춤형 패키지로 수출하겠다는 전략이다.

 

투자회수기간의 장기성을 고려, 병원 해외진출 투자펀드를 조성해 리스크를 분담·지원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