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6일 “북한은 대결과 갈등의 길에서 벗어나 평화와 번영의 길로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동작동 서울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제56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 추념사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우리는 이를 위해 인내심을 갖고 진지하고 일관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언젠가 다가올 한반도 통일에 대비해 국민 모두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고 한주호 준위와 청해부대 용사들, 삼화주얼리호 석해균 선장 등을 거론하면서 “이 시대의 진정한 영웅이자 애국자”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무엇이 역사의 바른 길인가에 대한 논란도 많았다. 그러나 명암없는 역사는 없으며, 아랫돌 없이 윗돌이 올라선 역사의 탑은 없다”면서 “이제 우리가 성취해 온 성공의 역사를 자랑스럽게 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애국선열을 기리는 것은 나라 사랑의 첫출발이자 국가통합의 초석”이라며 “정부는 ‘보훈제도 선진화’로 나라를 위한 희생과 공헌에 합당한 보상과 예우를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취업과 교육, 의료와 주택 등 ‘맞춤형 지원’을 펼쳐나가고, 보훈대상자의 노후 복지 강화에도 주력해 나갈 것”이라며 “전 세계의 참전용사 생존자들과 유가족들을 지속적으로 한국에 초청하고, UN군 전사자의 유해를 발굴하는 일에도 계속 정성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우리 대한민국이 지켜야 할 가치는 분명하다”면서 “책임 있는 자유민주주의, 공정한 시장경제, 그리고 원칙있는 법치주의가 그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 나라를 번영과 평화의 복지로 만들어 우리 후손은 물론 전 인류의 행복에 기여하는 것이 우리 세대의 임무”라며 “정부는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잘사는 국민, 따뜻한 사회, 강한 나라를 위해 쉼 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