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과학기술인재 육성 2조5천360억원 투입

융합인재교육 강화, 글로벌박사 양성 등 중점 추진

정부가 올해 과학기술인재 육성에 모두 2조 5천360억원 투자하기로 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5월 수립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11~2015)’의 2011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11개 부처·청 등이 합동으로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행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초중등, 대학(원), 출연(연), 기업, 인프라 등 5대 영역별로 15대 중점 추진과제와 97개의 세부사업을 추진하며, 이를 위해 총 2조5천36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각 영역별로는 초중등 분야의 경우 미래형 융합인재교육(SEAM)이 강화된다. 이를 위해 수학·과학 교과를 개편해 예술교육과 연계시키며, 과학예술영재학교를 신규 시범 지정한다.

 

또 이공계 석·박사를 교장·교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초중등교육법, 교육공무원법 등 관련법령을 올해 말 개정하며, 미래형 수업모델을 개발해 2015년 500개교로 확대한다.

 

영재교육 대상자 및 영재학교도 확대해 지난해 1천150개였던 과학영재교육기관수는 올해 1250개로 늘리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등 4개 과기대 등 연구중심대학에 부설 영재학교 설치하는 방안도 권장된다.

 

대학(원) 분야에서는 연구 잘하는 이공계 대학원 육성을 위해 GPS 지원 및 WCU사업(학과단위 지원)을 선별적으로 집중 지원한다.

 

이와 함께 4대 과기대(원)를 특화분야별 세계적 연구거점으로 육성하고, 산학협력중점교수 채용을 올해 220명으로 확대한다. 지난해 29%이던 대학의 간접비 비율도 2011년 33%로 늘리고, 집행의 자율성도 확대한다.

 

출연(연) 분야에서는 과학기술인 연금 등 복지혜택을 강화해 과학기술발전장려금 규모를 2013년까지 2천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기존 프로젝트기반 연구비지원제도(PBS)도 개선해 인건비 비중을 60%에서 올해 70%로 확대한다.

 

기업 분야에서는 산업단지캠퍼스 3개를 선정하고 15개의 산학융합연구실을 조성하는 등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산학협력 석·박사과정을 운영한다. 방송통신 융합기술인력 500명, 차세대모바일 전문인력 450명도 양성한다.

 

인프라 분야에서는 WCU 해외 우수학자 유치·활용을 통한 인재양성 규모를 1천194명을 늘리고, 정부초청장학사업(GKS) 등을 통한 외국인 이공계 석·박사과정 포함 외국인 유학생 유치 규모를 9만명으로 늘린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