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말라리아 방역 사업 곧 재개 될 듯

현인택 장관, 인도적 차원 국제기구 통한 방역사업 추진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사건 이후 전면 중단 됐던 대북 말라리아 방제사업이 곧 재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나라당 이윤성 의원(인천 남동 갑)은 현인택 통일부 장관에게 “5.24 조치이후 국제기구를 통해 진행되던 대북 말라리아 방재사업이 지난해부터 전면 중단돼 올 여름 홍수 피해가 유난히 심했던 북한에서 말라리아 창궐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모기를 매개체로 하는 말라리아는 DMZ 철조망으로 막을 없을 뿐만 아니라 말라리아 발생 주기로 볼 때 올해는 북한에 말라리아 창궐 가능성이 높은 해”라며 “이는 남한으로의 전염을 의미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북한 현지에 국제기구 사무소가 위치, 국제기구를 통한 의료 지원 사업은 상대적으로 분배투명성이 확보되는 만큼 북한 말라리아 방제사업을 시급해 재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올 하반기에 북한에 말라리아 창궐이 우려되는 것이 사실”이라며 “인도적 차원에서 국제기구를 통한 말라리아 방역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답변했다.

 

이는 그동안 정부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직접 지원을 금지하던 정부 정책의 방향을 전환하겠다는 것을 뜻해 앞으로 남북교류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퇴치됐던 것으로 알려졌던 말라리아는 지난해부터 북한에서 크게 유행하면서 남한사회에서도 재 발병하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1천800여명의 환자가 신고 됐다.

 

이들의 85%는 인천, 경기, 강원 등 접경지역 주민들과 군인이어서 질병관리본부는 북한으로부터 옮겨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올 해도 8월 초 현재 남한에서 400명 이상의 환자가 나왔는데 말라리아 잠복 기간이 1년인 것을 감안할 때 올 가을이나 내년엔 환자수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정부는 지난 2001년 북한에서 30만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했다는 보고가 나오자 2001년부터 WHO(세계보건기구)를 경유해 남북협력기금을 이용, 대북 말라리아 방재 사업을 벌여왔다.

 

그러나 2009년 13억원(110만 달러)에 달하던 북한 말라리아 관리사업이 지난해 5.24 조치로 2년 간 한 푼도 지원되지 않고 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