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지분 20% 내년 국민주로 매각

정부, 매각금 4천억 세외수입 편성… 반대 거세 난항 예고

정부는 내년에 인천국제공항 지분 20%를 국민주로 매각한다.

 

27일 정부가 발표한 내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에 인천공항 지분 20%를 국민주로 매각해 매각대금 4천억원을 세외수입으로 편성했다.

 

정부는 당초 매각 지분 15%는 국내 증시에 상장하고, 나머지 34%는 해외 선진 공항과 맞교환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 지분 20% 모두를 국민주로 매각키로 했다.

 

또 국민주 매각시 저소득층이나 사회적 소외계층에게 원래 가격보다 30% 정도 낮은 가격에 주식을 넘기는 방안 등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앞서 2008년 8월 공공기관 선진화 방안에서 “인천공항을 세계 수준의 허브공항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문공항 운영사와의 전략적 제휴 15%를 포함해 지분 49%를 매각한다”고 발표한 이후 매각대금을 지난해부터 세입예산에 반영했지만 매각하지 못했다.

 

그러나 정치권 및 지역사회의 반대여론이 거센데다 주식시장 침체 등으로 인해 매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민주노동당 인천시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흑자공항인 인천공항 지분을 지금 파는 것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격’이다”며 “국민주로 매각하는 것도 포스코 등의 사례를 볼 때 결국 외국자본에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인천공항 민영화를 반대했다.

 

또 현재 글로벌 재정위기로 폭락한 주가가 내년이라고 해서 시장 상황이 크게 호전될 가능성이 낮아 자칫 급하게 팔았다가 ‘헐값 매각’ 시비에 휩싸일 수 있는 점도 문제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약 4조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한 3단계 확장공사를 위해서라도 인천공항 지분 매각은 불가피하다”면서 “인천공항 지분을 국민주로 일부 매각할 계획이며, 구체적인 방식은 계속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