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경 사퇴… ‘정전 사태’ 줄줄이 문책

취임 8개월만에 불명예 퇴진… 염명천 전력거래소 이사장·김우겸 한전 부사장도 경질

9·15 정전사태로 인해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사퇴한데 이어 염명천 전력거래소 이사장 역시 해임될 전망이다. 또 단전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한국전력 김우겸 부사장도 경질될 것으로 보인다.

 

최중경 장관은 27일 국무회의를 마친 뒤 이명박 대통령을 직접 만나 사의를 표명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직접 책임은 아니지만 국무위원으로서 도의적 책임을 지게 되어 안타깝다”며 “지경부 장관이라는 자리가 한시도 비워둘 수 없는 직책인 만큼 후임 장관이 결정돼 인계받을 때까지 사태수습 뿐만 아니라 관련 업무를 잘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이로써 최 장관은 정전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취임한 지 8개월 만에 물러났다.

 

정부는 또 대규모 정전사태의 책임을 물어 염명천 전력거래소 이사장을 해임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종룡 국무총리실장이 지난 26일 정부합동점검반 정전사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번 사태와 관련, 엄중 문책하겠다고 발표한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

 

합동점검반은 전력거래소 뿐만 아니라 전력수급의 총책임을 지고 있는 지경부 관계자도 엄중 문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전 역시 단전 당일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김우겸 부사장을 경질하고, 관계 직원들에 대해서도 중징계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번 9·15 정전사태와 관련해 전력거래소와 한전·지식경제부 등 3개 기관에서 최소 15명 이상이 징계를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최 장관의 사임은 정전 사태가 전력 수급에 대한 예측 실패와 관계 당국의 총체적 대응 부실 때문이었다는 내용의 정부 합동점검반의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전력 수급을 총괄하는 부처 수장으로서 사퇴 압력을 강하게 받았다.

 

정전 사태에 대한 장관 책임론은 이미 사태 초반부터 제기됐다. 예고 없는 단전과 수많은 피해로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야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은 사퇴 공세를 폈고, 정전 이튿날 이 대통령이 한전을 찾아가 책임소재를 따지겠다고 밝히면서 압박은 더욱 거세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 장관은 지난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사퇴의사를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은 채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표현으로 사태를 수습한 뒤 물러날 수도 있다는 생각을 비쳤다.

 

최 장관의 사퇴는 정부합동점검반에서 정전 원인을 밝히면서 관계자 문책 방침을 재확인하자 더 이상 버티기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