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남북관계 고려” vs 보수 “독재자 애도 안된다” 정부, DJ·정몽헌 유족 방북 조문 허용… 갈등 증폭
사망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 대한 조문단 파견을 놓고 정치권과 시민단체, 시민들이 보수와 진보 등 찬반의견으로 갈라지며 갈등이 심화, 정국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정부가 20일 정부 차원의 조문단은 보내지 않고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 유족에게는 방북 조문을 허용하겠다는 발표에도 불구하고 찬반논란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진보진영은 위원장이 남북정상회담의 당사자였을 뿐 아니라 향후 한반도 정세 안정을 위해 정부가 조문단을 보내야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보수진영은 무자비한 폭정으로 수백만 북한 동포를 죽음으로 몰고 갔던 독재자 김정일에 대한 조문은 말도 안된다며 맞서고 있다.
참여연대는 이날 “남북관계가 최악의 상황에 처해 있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남북정상회담 등 한반도 평화문제를 논했던 당사자”라며 “정부는 조의를 표명하고 조문단을 파견해야 한다”고 논평을 통해 밝혔다.
경실련통일협회도 “김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우리 사회는 조문 문제로 극심한 이념적·정치적 대립을 보이고 있다”며 “한반도 평화를 위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차원에서 북한에 조문단을 파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조문하기 위해 방북길에 오르기로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되고 있다.
반면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박진걸 국제팀장은 “300만명을 굶어죽게 하고 20만명 넘게 정치수용소에 가둔 파렴치한 독재자의 죽음에 조문은 고사하고 애도의 표현도 아깝다”고 말했다.
라이트코리아도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 동포 수백명을 기아로 죽게 하고도 독재체제 유지와 군사력 강화에만 급급하고 있는 김정일의 사망은 결코 애도할 일이 아니다”라며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철저히 안보태세를 갖추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치권은 물론 누리꾼들과 시민들 사이에서도 조문과 관련된 갑론을박이 지속, 사회적 봉합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신동민·양휘모기자 sdm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