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여야 대표 회담’
이명박 대통령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발표 나흘째인 22일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통합당 원혜영 공동대표 등 여야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 김정일 사후 대책 등을 논의하며 초당적 협력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회담 시작에 앞서 대기 중이던 박 위원장·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 민주통합당 원 공동대표·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 등 참석자들과 일일이 악수하며 “초당적으로 도와줘 고맙다”고 인사를 건넸다.
이에 원 대표는 “민주통합당도 어려운 상황에서 초당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정부에서 적절하게 대응한 것에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상황을 남북관계 개선의 좋은 기회로 삼았으면 한다”고 전했다.
또한 원 대표는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역량을 정부와 여야가 같이 보여야 한다”며 “북한 돕기에 나서고 있는 민간단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박 위원장도 “김 위원장 사망이라는 돌발 상황을 맞아서 대통령께서 신중하고 균형 있게 대응해서 국민이 안심하는 것 같다”면서 “노고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하시는 거 같다”며 “여야 정치권이 정부의 입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해주고 협조해줘서 고맙다”고 재차 고마움을 표시했다.
이어 진행된 이 대통령과 여야 대표들의 비공개 회담은 1시간 가량 이어졌으며 ‘김정일 사망’ 이후 논란이 된 대북 정보력 문제 및 외교·안보라인 개편 필요성, 조문단 파견 문제 등을 논의했다.
박 위원장은 “북한의 특성상 어려운 측면이 있겠지만 대화채널을 포함한 대북 정보체계가 강화돼야 한다는 국민의 얘기가 있다. 대책을 잘 세워야 한다”며 우회적으로 대북 정보력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원 공동대표도 “정부의 대북 정보 수집능력이 취약하다”고 비판하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걱정하는 것 만큼 우리 정보력이 취약하지 않다”며 한·미간 원활한 정보공유가 이뤄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하지만 원 공동대표를 비롯한 야당 측은 외교·안보라인의 전면 개편 및 교체를 거듭 요구한 반면, 이 대통령은 “그 문제는 정부에 맡겨 달라”며 구체적인 답변을 유보,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조문 문제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과 야당의 확연한 입장 차가 확인됐다.
원 공동대표는 “조의 표시는 잘된 일인데, 조문에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과 자세가 필요하다”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를 중심으로 한 조문단 구성 필요성을 거론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조문에 대한 원칙이 훼손된다면 대단히 곤란하다”며 수차례 야당이 이해해줄 것을 부탁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해인·윤승재기자 ysj@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