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외교전선 긴박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한반도 외교전선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미·중을 중심으로 한반도 주변국들이 ‘조문외교’를 내세워 북한을 상대로 전략적 관여를 시도하고 있으며 북한도 김 위원장의 ‘유훈’에 따라 대북 식량지원과 비핵화를 위한 대화테이블에 나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북미가 연초에  3차대화를 갖는다면 이는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를 수용하고 미국이 대규모 대북 영양지원을 하는 ‘빅딜’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북미가 6자회담 재개 협상을 합의타결함으로써 회담 재개를 공식화하는 의미가 있다는게 외교가의 분석이다.

 

김정일 사망이라는 돌출악재가 6자회담 재개흐름을 중단하기 보다는 오히려 촉진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6자회담 관련 각국으로서는 6자회담 재개 흐름에서 소외되지 않고 나아가 이니셔티브를 선점하기 위한 외교전을 전개하고 있다.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22일 급거 베이징행(行)을 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중국과 김정일 사후의 전반적 상황을 평가하고 6자회담 재개 방향에 관한 ‘주파수’를 조율하기 위한 차원이다.

 

이에앞서 임 본부장은 글 데이비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전화통화를 갖고 한미간 공조를 확인했다.

 

그동안 두차례 남북 비핵화회담을 거치며 6자회담 재개흐름을 이끌어온 한국 정부로서는 현 국면에서 선제적이고 능동적으로 움직일 필요성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정부가 남북관계의 틀을 새롭게 짜려는 흐름과도 맞물려있다. 정부 차원의 조의표시와 민간 조문단 파견을 고리로 대북 정책기조를 전환하는 계기로 활용하려는 움직임과 연계돼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는 주변4강이 조문외교를 고리로 발빠른 대북 관여행보를 보이는 흐름 속에서 한국이 소극적 대응을 꾀할 경우 외교적 으로 ‘실기’(失機)할 수 있다는 상황인식도 깔려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일본과 러시아도 발빠른 대응을 모색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일본은 ‘포스트 김정일’ 상황의 안정을 명분으로 ‘콘클라베(비밀회의)’ 형식의 한·미·일 3자간 고위급 회담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한반도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러시아는 6자회담내 동북아지역 평화·안보체제 실무그룹 의장국의 지위를 활용해 북한과의 양자대화와 관련국간 접촉을 적극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창학기자 ch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