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통합 추진은 하지만…곳곳 ‘반대 지뢰밭’ 험로
추진위 ‘통합 주민 서명부’ 제출 정작 해당 자자체 반발
최대 변수 연내 ‘통합시’ 출범 물건너 갈 듯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체제 개편과 관련, 경기도내에서는 수원권(수원·화성·오산), 안양권(안양·의왕·군포), 의정부권(의정부·양주·동두천)등 3개 권역이 최종 건의될 예정이다.
그러나 권역별로 일부 자치단체들이 크게 반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 내에서도 오는 12월 치러질 대선에 영향을 주지 않기위해 행정체제 개편을 미루자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어 올해 안에 시·군 통합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5일 도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지방행정체제 개편 추진위원회는 지난해 8월 시·군 통합 기준안을 발표하고 이달 말까지 시·군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현재까지 도내에서는 수원·화성·오산시가 포함된 수원권과 안양·의왕·군포시가 포함된 안양권 등 2개 권역의 주민의견이 모아져 지난해 말 추진위에 주민 통합 서명부가 전달됐다.
의정부시와 양주·동두천시가 포함된 의정부권역 또한 현재 양주시가 통합찬성 주민 서명을 완료했고, 의정부시 역시 주민 서명을 모두 받은 뒤 서명부 심사를 실시하고 있어 조만간 경기도에 주민 서명부를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남양주시와 구리시 통합의 경우 지난해 12월께 남양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한 모씨(53)가 독자적으로 주민서명을 받으며 통합 여론을 조성하려 했으나 주민 100여명의 서명만 받은 채 결국 실패, 통합 논의가 진행되지 못했다.
또 성남시와 하남·광주시는 통합에 부정적인 의견이 많아 주민 서명도 추진하지 않았다.
결국, 도내에서는 수원권과 안양권, 의정부권 등 3개 권역만이 통합건의서를 제출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마저도 회의적인 시각이 우세하다.
추진위는 통합 대상 자치단체 중 한 곳이라도 반대하면 통합을 추진하지 않을 방침인 가운데 수원권은 화성시가 풀뿌리 지방자치가 훼손될 우려가 있다며 분명한 반대의사를 밝혔고, 안양권은 의왕시가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또 의정부권역 역시 동두천시 주민들이 통합 반대 서명을 추진하고 나서는 등 반대 여론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추진위 내부에서도 오는 6월 시·군 통합 대상이 담긴 행정체제개편 기본계획 발표를 앞두고 오는 12월 치러질 대선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행정체제 개편을 연기하자는 의견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어서 사실상 올해 안에 경기도내에서‘통합시’를 보긴 힘들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의정부권역이 조만간 통합 건의서를 제출해 오면 도내에서는 총 3개 권역이 통합 대상으로 추천 된다”면서도 “그러나 일부 자치단체들의 반대가 심할 뿐 아니라 시·군 통합이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미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