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테러 없는 세상” 세계가 머리 맞댔다

서울 핵안보정상회의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저지하기 위한 국제적 공조 논의의 장이 되고 있다.

 

핵안보정상회의는 비국가 행위자들의 핵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국가 간 연대 체제다. 다시 말해 북한이나 이란의 핵개발 등 비확산 문제는 핵안보정상회의의 기본 성격과 맞지 않기 때문에 정식 의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막상 회의가 개막하자 한반도 주변 주요 국가 정상 간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 관련 논의가 활기를 띠면서 사실상 북한 압박을 위한 국제 공조의 장으로 활용될 것으로 관측된다.

 

오바마

유엔안보리·북미합의 위반

 

후진타오

中지도부도 깊은 우려…지속적인 소통·중지 노력

 

메드베데프

동북아 평화에 분명한 위협

특히 미국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북한을 강하게 압박하겠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명박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은 유엔안보리 결의와 2·29 북미합의를 위반한 것으로 국제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도발 행위라는 견해를 밝혔다.

 

중국도 진일보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이날 이명박 대통령과 한중 정상회담에서 북한 로켓 발사와 관련 “중국 지도부도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북측과 지속적으로 소통, 중지시키는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며 우호적인 신호를 보냈다.

 

중국 측은 최근 이례적으로 북한 로켓 발사 발표 직후 주중 대사를 불러 우려하고 있다는 뜻을 전하는 등 과거보다 다소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일단 협조적인 반응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중국이 공개적으로는 북한 로켓 발사 계획에 대해 ‘우려’하는 한편, 관련국들과의 대화에선 ‘북한을 자극하는 경우 일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라는 ‘자제 요청’의 메시지를 동시에 보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러시아는 북한의 광명성 3호 위성 추진체 발사에 대해 비교적 강도가 높은 메시지를 보냈다.

 

한·러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을 저지해야 한다는 양측간 공감대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나아가 북한이 주장하는 ‘광명성 3호 위성 추진체’를 ‘미사일’로 명확히 규정하면서 미사일 발사 계획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역내 평화에 분명한 위협이 되고 있음을 경고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