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재정난에 따른 고통의 정도가 깊어지고 시간도 길어지면서 지역사회 곳곳에서 틈이 생기고 있다. 고통이 심해지고 호흡이 가빠지면 지역사회의 구조적 균열로 이어질 우려도 크다.
지난 2일자로 취임 2주년을 맞은 송영길 시장이 돌파구 마련을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활로 찾기가 좀처럼 쉽진 않아 보인다. 송 시장은 이날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인천AG)에 대한 국고 지원을 19대 국회에서 이끌어 내겠지만, 중앙정부가 끝까지 국고지원을 거부한다면 인천AG을 치를 수 없다는 중대한 결단(반납?)을 할 수 밖에 없다”라는 각오를 밝혔다.
송 시장이 지난달 25일 기자들과의 자리에서 “기업유치를 통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는 인천시가 (국제적 약속으로 기업유치에 신뢰적 영향을 미치는) 인천AG을 포기할 수는 없다”라고 했던 발언과는 다른 입장이다.
또 지난 5월30일에는 ‘인천시 재정 현황 및 대책 발표’를 통해 “평창 동계 올림픽 수준의 정부 지원이 없으면 개최권을 중앙정부에 반납하겠다”라고 공언했었다. 수시로 입장이 바뀌고 있다.
물론 송 시장은 인천AG에 대한 중앙정부 지원의 당위성과 성공 개최 의지를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강조한 것일 게다. 그러나 시민들에게는 갈 짓자 행보로 보이며 불안감을 전한다.
과연 국고지원을 받아 AG을 치를 수 있다는 것인지, AG 후 부채는 어떻게 되는지, 국고지원을 못 받으면 정말 포기하겠다는 것인지, 그 포기가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지, 포기하면 인천은 어떻게 되는 것인지…. 시민과 시장간 소통의 틈이다.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는 지난 28일 발족식을 하고 ‘인천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중앙정부 지원촉구 200만 서명운동’을 선포했다.보수 진보 시민사회, 정계·재계·학계·언론계 등 지역 사회계층이 총 망라된 명실상부한 범시민 협의체처럼 보이는 이곳에서도 틈이 생긴다. 중앙 정부에 정치적 압박을 가해 인천AG 지원을 이끌어 내려는 송 시장의 의도에 시민단체가 압장서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정치적 틈이다.
결국, 시민협의회는 8월 말까지 정부가 인천AG 지원 방침을 밝히지 않으면 대회 반납 서명운동으로 전환하겠다는 단서를 붙였다. 인천AG을 잘 해보자고 시작된 200만 서명운동이 자칫 대회 반납 서명운동으로 뒤바꿜 수도 있는 아이러니한 처지가 됐다. 시민협의회 내부에서도 갑론을박과 많은 고민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민사회간 틈까지 걱정된다.
더 늦기전에 지역사회의 틈을 단단하게 봉합할수 있는 ‘인천표’ 대책이 필요하다.
송 시장은 오월동주(吳越同舟) 정신으로 여·야 당대표와 중앙정부 부처를 찾아 인천시의 재정문제를 설명하며 초당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사회도 재정 위기 해결 목소리를 내기 위한 범 시민협의체를 출범시켰다. 비록 송 시장과 지역사회의 노력이 성공적 결과를 장담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인천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발판은 준비 된 셈이다.
지역사회의 틈을 메우며 앞으로 나갈 수 있는 믿음과 자신감이 인천에는 지금 필요하다. 힘들고 어렵지만 인천이 갈 수 있는 곳은 앞쪽 ‘전진’ 뿐이기 때문이다.
인천이 웅비자복(雄飛自服·힘들수록 힘차게 뻗는다) 정신으로 모여 승풍파랑(乘風破浪·크고 먼 파도를 헤쳐 꿈을 이룬다)에 이르는 것은 어떠할까.
류제홍 인천본사 정치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