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만 철수 요구… 軍 “대피 상황 아니었다”
우리 군(軍)이 지난 6일 북한군이 상관을 살해하고 귀순한 급박한 상황을 민통선 주민들에게 전파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러나 군은 이날 외국인 등이 포함된 안보관광객들에 대해서는 철수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확산될 전망이다.
9일 군과 대성동 주민 등에 따르면 지난 6일 낮 12시10분께 북한군 1명이 경의선 남북관리구역 파주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우리 군 경비초소로 귀순했다.
귀순 북한군은 북한군 경비초소에서 경비근무를 서던 중 소대장과 분대장을 사살하고 귀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남북 간에 위기감이 고조되는 등 전국적으로 긴장감이 감돌았지만, 정작 민통선 내 통일촌을 비롯해 대성동과 해마루촌 주민 920여명은 아무런 소식도 전파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지역은 주민들이 군으로부터 출입 등을 통제받으며 생활하고 있는 곳으로, 외국인 관광객 등 하루 수천명이 안보관광을 다녀가는 곳이기도 하다.
이에 반해 군은 상황이 발생한 지난 6일 낮 12시에서 3시간여가 지난 오후 3시15분께 파주시 민북관광팀에 북한군 귀순 사실을 통보하고 관광객 철수를 요구했다.
이날 안보관광에 나선 인원은 외국인을 포함해 모두 3천766명으로, 시는 군 통보에 따라 관광객 철수를 준비하다 20여분 후 군으로부터 상황이 종료됐다는 연락을 받고 관광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민통선 마을에 사는 A씨(56)는 “관광객의 목숨은 중요하고 지역민들은 죽어도 괜찮다는 것이냐”며 “주민을 보호해야 할 군이 어떻게 이럴 수 있는지 한심스러울 정도”라고 성토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적의 조준 등 남침이 의심되는 상황이 아니고 귀순 상황이니 만큼 지역민들에게 알려 대피시켜야 하는 상황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