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직종체계 6개→4개 개편

행안부, 내년부터 기능·계약직 폐지…인사관리 효율성 기대

오는 2014년부터 공무원 직종체계에서 기능직과 계약직이 폐지된다.

16일 행정안전부는 현행 6개로 세분화된 공무원 직종체계에서 기능직과 계약직을 폐지해 4개 직종으로 통합·간소화하는 내용의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1981년부터 전체 공무원을 6개 직종으로 분류해 채용, 승진, 보직 등 인사관리를 해 왔지만, 이러한 직종체계가 변화된 행정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다는 등의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초 직종개편 방침을 정하고, 학계·노조·공무원 등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공무원직종개편위원회’를 통해 1년 남짓 심도 있는 논의를 해 왔으며, 그 결과를 이번 개정안에 반영한 것이다.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업무의 유사성, 인사관리의 동일성 등을 고려해 일반직 중심으로 공무원 직종체계를 통합·간소화하는 것이다.

직종별로는 기능직을 폐지하고 모두 일반직으로 통합하며, 별정직은 일반직과 별정직(비서·비서관 등)으로 재분류한다.

더불어 계약직을 폐지하고 일반직(임기제)과 별정직(장관 정책보좌관 등)으로 재분류한다. 또한, 업무특성에 적합한 인사관리가 가능하도록 한시적인 업무 등에는 근무기간을 정해 임용(임기제공무원)하거나, 대체 불가능한 특수업무 등에는 장기간 동일업무를 수행하도록 임용(전문경력과)할 수 있는 인사제도도 함께 도입된다.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 개정안은 직종개편의 방향과 기본 틀만 담고 있어, 예정대로 법률이 연내 국회를 통과하면, 세부적인 개편내용은 내년에 대통령령 등 하위법령에 담을 예정이다.

따라서, 직종개편의 실제 시행은 오는 2014년 1월로 전망된다.

아울러, 이번 개정안에는 공무원이 여비를 부정하게 받은 경우 수령금액의 2배 내에서 가산해 징수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