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국도 48호선과 대포천을 따라 형성된 시도 18호선이 만나는 신곡사거리. 이곳은 인천과 경기북부를 제외한 외지에서 김포로 들어오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김포의 관문이다.
서울에서 김포를 거쳐 인천 쪽으로 가기 위해선 김포한강로를 제외하면 국도 48호선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신곡사거리를 통과할 수밖에 없는 외길이다.
그 만큼 차량통행량이 많은 김포시 최대 교통 혼잡지역이다.
신곡사거리는 최근 김포 한강신도시의 업무 및 공사용 차량이 많아진데다 신도시 입주민도 점차 늘면서 차량들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이와 함께 강화, 통진 방향에서 김포한강로를 이용해 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려는 차량들과 한강로 신곡IC에서 시도 18호선으로 나온 차량들이 신곡사거리에서 김포 시내와 외곽순환고속도로로 진입하는 차량들도 크게 늘고 있어 매우 혼잡해 지고 있다.
김포시가 최근 신곡사거리의 차량 통행량을 조사한 결과 국도 48호선의 경우 하루 9만8천800여대, 시도 18호선은 1만8천200여대 등 12만여대의 차량들이 신곡사거리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김포에서 서울이나 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 외부로 빠져나가는 차량들로 극심한 교통체증을 보이면서 1~2㎞의 차량 정체현상을 겪고 있다.
이같은 교통혼잡으로 교통사고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어 지난해 신곡사거리에서는 62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3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올해에도 지난달 말까지 4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 역시 1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처럼 신곡사거리는 교통혼잡에서 오는 추돌과 접촉사고가 대부분이고 과속과 신호위반도 적지 않은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김포경찰서는 현행 시속 80㎞인 최고 제한속도를 70㎞로 낮추는 방안을 최근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최종 확정하고 내년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김포서는 지난 6일 교통안전시설심의위원회 3차 회의를 열고 서울방향에서 현대아파트로 좌회전하는 차선을 2개 차선으로 늘리는 방안을 최종 확정하고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김포서 관계자는 “한강신도시의 입주민들이 늘면서 신곡사거리의 교통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이 교통혼잡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우선 제한속도를 시속 70㎞로 낮추고 서울~현대아파트 방향 좌회전 차선을 2개로 늘려 교통사고가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