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영상 활용으로 폭설 대응 ‘OK’

위성영상 활용 폭설 대응 나선다
국립방재硏, 폭설 면적·눈 종류 등 15분내 분석기술 개발

폭설로 인한 재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정책적 판단을 지원할 수 있는 위성영상을 활용한 폭설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행정안전부는 12일 “국립방재연구원이 위성영상자료를 이용, 폭설이 내린 지역의 면적·분포·눈의 종류(건설·습설)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라고 밝혔다.

이 기술로 종전에 3일 이상 소요되던 분석 과정이 15분으로 단축돼 신속한 폭설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 기술은 국립방재연구원에서 추진 중인 ‘선제적 재난대응을 위한 위성영상 활용기술 개발’ 연구 성과의 일환으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제공하는 MODIS(육상·해양·대기 관측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분석한다.

이 영상은 우리나라 전체를 한 번에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밴드)가 함께 탑재되어 있어 폭설 분석에 적합하다.

분석을 거친 영상은 상대습도, 대기온도, 적설 깊이 같은 기상자료와 눈구름정보, 폭설면적, 폭설분포 같은 판독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매일 1~2회 제공받을 수 있는 이 영상을 통해 폭설이 내린 지역을 시계열적으로 모니터링해 폭설 진행상황이나 지역별 제설 상황(또는 눈 녹은 정도)을 주기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재난관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