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도 뽑았는데 통장은 왜…
광주 탄벌1통 통장선거 때 장애인 선거권 박탈 논란
관련자 “후보자 이름조차 구분 못해 투표 못한 것”
광주의 한 마을 통장선거에서 거주민임에도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선거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광주시 탄벌1통 주민과 송정동사무소 등에 따르면 지난 1일 광주시 탄벌1통 마을 회관에서는 총 3명의 후보자가 출마해 1명이 중도 포기,사실상 2명의 후보가 경합을 벌이며 통장 선출을 위한 투표가 진행됐다.
투표는 마을주민 100여 명이 참석해 향후 2년간 마을 발전을 견인해 갈 통장을 뽑는 직접 선거로 실시됐고, 해당 지역에 소재한 장애인시설인 D 시설 원생 15명도 투표참여를 위해 이곳을 찾았다.
그러나 이날 통장 후보로 출마한 후보자의 K씨의 측근 A씨가 투표를 위해 마을 회관을 찾았던 D 시설 원생들의 투표를 제지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말썽이 일고 있다.
유력 후보자로 거론되던 K 후보자의 한 측근 A씨가 “통장선거는 마을 주민이 하는 것이지 인지 능력이 없는 사람이 무슨 투표를 하느냐?”라며 투표용지도 배부하지 않은 채, 원생들의 투표를 막았다는 것이다.
원생들은 투표 참여를 위해 추위를 참아가며 1시간여를 마을회관 주변에서 기다리다 발길을 돌려야 했다고 주장했다.
원생 C씨(43)는 “대통령도 이 손으로 뽑았는데,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마을 통장선거 투표권을 박탈당한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라며 “D 시설은 마을을 위해 교통편의도 제공하고 눈 오는 날이면 앞장서 제설작업도 벌이며 지역주민으로서 애정을 보였는데 별다른 설명이나 해명도 없이 단지 장애인이라 투표권을 안 준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결국 이날 통장 선출투표는 투표함을 열어보지도 못한 채 무효가 됐고, 탄벌1통 개발위원회 소속 8명의 위원은 지난 18일 통장 임명권을 가진 송정동 주민센터 앞으로 통장 후보자 중 한 명인 K씨에 대한 통ㆍ이장 추천서를 보낸 상태다. 이에 대해 또 다른 후보자 G씨는 절차상의 문제를 들어 반론을 제기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K 후보자의 측근 A씨는 “원한다면 CCTV 영상을 통해 확인해 줄 수도 있다”며 “투표 당일 처음 보는 사람들이 버스에서 내려, 신분증 제시를 요구했고, 이중 일부는 투표용지를 받아 갔으나 후보자의 이름조차도 구분하지 못해 투표를 못 한 것이지 의도적으로 투표권을 제지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