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GTX 사업 버리지 않을 듯

박근혜 정부, GTX 추진 가속도

국정과제 이어 지역공약이행계획에도 포함

BTLㆍBTO 방식 도입땐 2015년 착공 전망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가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에 이어 지역공약이행계획에도 포함돼 현 정부 임기 내 추진 가능성을 한층 밝게 해 주고 있다.

GTX는 경기도가 2008년부터 철저한 준비를 거쳐 추진해 온 만큼 국가재정과 BTL 혹은 BTO 방식을 혼합하면 늦어도 2015년에는 착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124조원(96개 신규사업 84조원, 71개 계속사업 40조원)이 투입되는 박근혜 정부의 106개 지역공약이행계획 및 민자사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GTX추진과 관련해 기재부 한 관계자는 7일 본보와 전화통화를 통해 “GTX는 이미 예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고, 제2차 국가철도망 계획(2020년까지)에도 포함돼 만성적인 수도권교통난을 획기적으로 해결하는 사업이어서 현 정부 내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국가재정이 어려운 현실을 고려해 정부와 경기도, 인천시, 서울시간 원활한 협의만 되면 BTL(Build Transfer Lease)이나 BTO(Build Transfer Operate) 등을 도입하면 사업시기는 더 빨라 질 수 있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노선 착공과 관련해서는 정부는 착공 때 현재까지 일산 킨텍스~수서(46.2㎞), 인천 송도~서울 청량리(48.7㎞), 의정부~금정(45.8㎞) 등 3개 노선 동시착공, 우선 1개 노선 착공 등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기재부 관계자는 “13조원이 투입되는 초대형 사업을 한꺼번에 할 경우 4대강 사업처럼 후유증이 예상될 것이다”고 언급하며 동시 착공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경기도는 그러나 “그동안 각종 사업성 조사에서 GTX 동시 착공이 사업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이번 지역공약이행계획에 GTX, 유니버설 스튜디오코리아 리조트(USKR), 한류지원을 위한 기반조성 등 3대 중점사업과 수서 발 KTX노선 의정부 연장, 월곶~광명 간 복선전철, DMZ 한반도 생태평화벨트조성, 군사규제와 기반시설부족 등으로 낙후된 경기북부를 특정지역으로 지정(강원도 연계), 경기만 해양레저 관광기반조성 등 총 8개 사업이 포함됐다.

세종=김요섭 기자 yoseopkim@kyeonggi.c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