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유엔군참전·정전 60주년 기념식서 다시 제안
박근혜 대통령이 정전 60주년을 맞아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을 다시 제안했다. 지난 방미 때 미국 의회 연설에서 언급한 데 이어 국제사회를 향해 다시금 같은 내용을 꺼내 든 것이다.
박 대통령은 27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유엔군참전·정전 60주년 기념식에서 “비무장지대(DMZ)에 세계평화공원을 만든다면 평화와 통일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정전협정 당사국들에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참여를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정전협정 제1조 1항에 규정된 DMZ는 최소한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며 “저는 중무장지대가 돼버린 비무장지대의 작은 지역에서부터 무기가 사라지고, 평화와 신뢰가 자라나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라고 강조했다.
DMZ 세계평화공원은 박 대통령이 지난 대선 때 내놓은 지역공약인 DMZ 한반도 생태평화벨트에서 발전한 구상이다.
1953년 7월27일 조인된 정전협정 제1조 1항에 근거해 마련된 DMZ는 지난 60년간 민간인의 출입이 차단되면서 생태계가 잘 보전돼 있지만 약 100만개의 지뢰가 매설돼 있는 ‘중무장지대’라는 상반된 성격을 가진 곳이다.
이 같은 박 대통령의 발언은 이번 구상을 앞으로 본격화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풀이된다.
또 북한의 참여를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압박하겠다는 의도도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개성공단 등과 관련해서도 별다른 진척이 보이지 않는 남북관계 속에서,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가운데 자신만의 새로운 전환국면을 병행해 나가겠다는 뜻이 고려된 것으로도 읽힌다.
박 대통령은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어떠한 도발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확고한 억지력과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로 북한이 도발할 생각을 멈추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나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한다면,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고 남북한 공동발전의 길을 적극 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