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소유권 이전 시 이전등록관청에 제출해야 하는 매도자의 인감증명서에 매수자의 실명을 의무적으로 기재하여 발급하도록 하는(가칭 ‘중고자동차 거래 실명제’) 제도개선이 추진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중고자동차 관리 실태를 조사결과를 토대로 안전행정부, 국토교통부, 국민권익위원회 3개 부처가 협업을 통해 중고자동차 미등록 불법전매에 따른 세금탈루 방지 방안을 마련했다고 7일 밝혔다.
권익위 조사결과, 무등록매매업 행위자들은 매도자로부터 중고자동차를 인수한 후 본인들의 명의로 이전하지 않고 제3자에게 매매하는 미등록 전매행위를 하면서, 매매업자가 내야 하는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인지세, 증지세를 매년 수천억 원씩 탈루하고 있다.
또한, 무등록매매업 행위자들은 매도자로부터 중고자동차를 인수한 후 명의를 이전하지 않고 종종 불법명의 차량(속칭 ‘대포차’)을 발생시키기도 했다.
이에 안행부는 중고차의 무등록매매업을 차단하기 위해 중고차 거래 시에도 부동산거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매도자의 인감증명서에 매수자의 실명기재를 의무화하는 ‘인감증명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하고 8일부터 입법예고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인감증명법 시행령’ 개정에 맞춰 ‘인감증명법 시행령’에 따라 발급된 매도자의 인감증명서가 제출되어야만 차량 이전등록이 가능하도록 ‘자동차등록규칙’을 개정할 예정이다.
관련법령 개정안은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앞으로는 중고자동차 거래 시 매도하려는 사람은 인감증명서를 발급받기 전에 매수자의 실명(법인명), 주민번호(법인등록번호), 주소(법인소재지)를 알아야 인감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