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도부 민생회담’ 성사 여부 촉각

朴 대통령, 5자 회담 고수… 민주 “경색 정국 해결” 양자 회담 후 다자회담 역제안

박근혜 대통령이 민생회담과 관련해서는 언제든지 여야 지도부와 만나서 논의할 생각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회담의 성사 여부를 놓고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여전히 여야 대표는 물론 원내대표까지 참여하는 ‘5자 회담’을 고수했고, 민주당은 최근 경색 정국을 해결하기 위해 선 양자 회담 후 다자회담을 다시 제안했다.

따라서 청와대 회담이 당장 성사될 가능성은 일단 불투명해 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민주당이 방점을 찍고 있는 의제인 국정원 대선개입 문제에 대한 박 대통령의 생각과 다르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여야 지도부와 만나서 논의할 생각과 관련해서 “민생과 연결된 5자회담 개최를 강조한 것”이라고 거듭 5자회담을 밝혔다.

이처럼 박 대통령이 5자회담 개최를 다시 제안함에 따라 회담 형식을 둘러싼 줄다리기가 계속되는 양상이다.

특히 박 대통령이 회담의 의제로 민생을 강조한 것은 민주당이 주장하는 박 대통령의 사과와 남재준 국정원장 해임 등 정치적 이슈에 대해선 대화할 뜻이 없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여야 지도부와의 회동 여부와 관련, ‘민생회담과 관련해서’라는 일종의 전제를 달았기 때문이다. 이는 민생을 고리로 여야회담을 수용, 정기국회를 정상화시킴으로써 새 정부의 민생·개혁법안의 조속한 처리기반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민주당은 5자회담 개최에 난색을 보이면서 선 양자회담, 후 5자회담을 역제의하며 ‘핑퐁 게임’을 벌였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27일 서울광장의 천막당사에서 열린 신임 지역위원장 임명장 수여식 이후 “먼저 대통령과 민주당 대표의 양자회담에서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결론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이후 대통령이 제안한 다자간 회담에서 민생을 의논한다면 두 회담 모두 국민과 국회를 위해 바람직한 자리가 될 것”이라면서 “많은 국민은 9월4일 대통령의 출국 이전에 전향적인 답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의 이 같은 제안은 박 대통령이 전날 말한 ‘민생 회담’과 ‘국정원 사태 회복을 위한 회담’을 결합한 형태의 것이어서 청와대에서 이를 수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강해인송우일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