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파밍 악성코드'가 다시 급증하고 있다.
지난 15일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기주, KISA)은 "지난 9일 이후 이용자 접속이 많은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파밍 악성코드가 급증했다"며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파밍이란 악성코드가 PC에 잠입해 정상 은행사이트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은행 사이트로 접속하게 한 뒤 인터넷 뱅킹을 이용해 이체 자금을 탈취하는 방식이다.
KISA는 지난달 10일부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와 협력해 악성코드에 감염된 PC에서 파밍 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5일 간 35만 대의 파밍 악성코드 감염 PC를 확인했고, 총 100만 건의 파밍 사이트 접속 시도를 차단했다.
한국진흥원관계자는 "파일공유 사이트를 이용할 경우 악성코드 감염을 조심해야 한다"며 "정상적인 은행 사이트에서는 전체 보안카드 번호 등 과도한 금융정보 입력을 요구하지 않으니 반드시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밍 악성코드 급증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정말 하면 안 될 것들이 너무 많다",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니 무서워", "파밍 악성코드 급증 조심합시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김예나 기자 yena@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