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곳곳에서 대규모 복합물류단지 조성 사업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가 잇따라 이뤄지고 있다.
특히, 팔당상수원과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각종 규제로 개발에 발목이 잡혀 있던 광주시에 대규모 복합물류단지 조성 사업과 이에 따른 배후 주거지역 개발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6일 광주시에 따르면 세진인베스트먼트㈜는 광주시 직동 62만㎡의 부지에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키로 하고 국토교통부에 물동량을 신청하는 등 인허가 절차를 추진 중에 있다.
물류단지 부지 조성비 2천700억원을 포함, 총 사업비 1조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에는 아파트 3천 세대와 학교, 근린시설, 공공시설 등 편익시설을 갖춘 친환경 물류단지로 조성 될 계획이다.
또한, 삼능산업㈜은 퇴촌면 도수리 39만㎡의 부지에 물류단지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곤지암 거봉산업 부지 8만㎡의 부지와 오포읍 23만㎡에도 각각 대형 물류단지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시는 성남~여주간 복선 전철 사업 구간인 광주, 곤지암, 쌍동, 삼동역 등 4개역 주변으로도 유통을 비롯한 상업·문화 시설 등을 갖춘 복합단지를 구상 중이다.
시 관계자는 “각종 규제에 묶여 개발에 제약을 받아 왔으나 물류단지와 복합 배후시설의 입지로 광주시 만한 곳이 없다”면서 “물류단지 사업은 꾸준히 추진돼 왔으며 서울과 인접해 사통팔달의 교통의 요충지라는 지리적 장점이 기업들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