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블랙홀 발견, 국내 연구진 "수억 년 후 충돌할 것"

45억 광년 떨어진 은하의 중심부에서 쌍둥이 블랙홀이 발견됐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우종학 교수팀은 우리나라 연구팀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진이 은하의 충돌 후 병합되기 직전 두 은하 중심부에 자리한 블랙홀을 세계 최초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쌍둥이 블랙홀을 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 중에서 병합과정에 있는 두 개의 블랙홀을 뜻한다. 이는 은하와 블랙홀의 공동진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연구팀은 빛을 방출하지 않아 검출이 어려운 블랙홀의 특성상 블랙홀 근처의 가스 운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두 개 쌍둥이 블랙홀의 존재와 위치를 알아냈다.

기존 엑스선 관측으로 확인된 두 개의 쌍둥이 블랙홀은 병합초기 단계의 것으로, 병합후기 단계의 은하에서 쌍둥이 블랙홀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독일과 미국의 공동연구자와 협력해 이뤄진 이번 연구에는 칠레 북부 소재 유럽남천문대의 구경 8.4미터 거대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의 자료가 이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우 교수는 "두 개의 쌍둥이 블랙홀이 수억 년 후 수 광년 거리만큼 가까워지고, 결국 충돌을 통해 하나의 블랙홀로 재탄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쌍둥이 블랙홀 발견'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우리나라 연구팀이 참여했다니 왠지 더 뿌듯하다", "쌍둥이 블랙홀 발견이라니 신기하네", "블랙홀 왠지 무서워" 등 다야한 반응을 보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천문학회지 온라인판에도 게재됐다.

김예나 기자 yena@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