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도시사업단 신설 4개과 2개로 통ㆍ폐합 단행 4급ㆍ5급 승진은 누가? 촉각 예산만 낭비 우려 목소리
광주시 공직사회가 대규모 조직개편과 승진인사를 앞두고 술렁이고 있다.
19일 시에 따르면 오는 30일 존속기간이 만료되는 친환경사업단을 폐지하고 창조도시사업단을 신설하는 조직개편을 내달초 단행한다.
신설 창조도시사업단은 창조도시과, 창조사업과, 도로사업과 등 3개과로 구성되며 역세권 및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을 시행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조직개편은 기존 주민지원국이 복지지원국으로 명칭 변경되는 등 4개 과의 명칭이 변경되고 여성가족과와 평생교육과가 아동보육과로 통·폐합되는 등 4개과가 2개과로 통합된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4급과 5급 각각 2자리에 대한 승진 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시세는 위축되는데 반해 조직만 비대해지는 중복적인 행정조직 개편은 예산 낭비만 초래할 뿐 그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기존 도시계획과에서 추진해 오던 역세권개발계획을 창조도시사업단에 신설하는 것은 업무중복으로 인한 효율성 저하를 낳고, 공원 업무의 산림행정과 통합은 자칫 업무과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도시계획과에서 수년 전부터 심혈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지부진 하던 역세권개발사업이 과 신설로 해결되면 좋겠지만 특정 직렬 신설이 자칫 조직의 사기저하와 조직분열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무원 A씨는 “인사를 앞두고 이런 저런 이야기가 난무하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지만 적어도 조직의 통·폐합과 관련 해서 실·과장의 의견 정도는 수렴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신설 조직의 특정 직렬 내정설은 조직을 분열 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의도적인 특정 직렬 신설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기존 도시계획과에서 맡아오던 역세권개발 업무를 창조도시사업단이 전담해 추진하는 것”이라며 “과 통·폐합은 각 국별로 의견을 수렴해 추진한 만큼 업무 중복은 없다”고 업무의 효율성을 위한 조직개편임을 강조했다.
한편, 시의회는 의회행정복지위원회 안건 심의를 거쳐, 오는 22일 본회에서 의결한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