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단상] 전철 소외지역, 언제까지 방치할 것인가

21세기 도시환경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부각되면서 세계의 모든 국가에서 철도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있다. 특히, 철도의 친환경성과 정시성ㆍ안전성 등이 중시되면서 철도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도 철도에 눈을 돌리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2020년까지 철도투자를 교통 SOC의 50%까지 늘릴 계획을 하고 있다. 차세대 고속열차와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첨단 철도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 대선 당시 ‘인덕원~동탄’, ‘월곶~판교’ 구간 복선전철을 비롯한 26개(사업비 총 34조8천333억원)에 달하는 철도 및 도로 신설 공약을 발표했다.

강남 3구 총 70여개 전철역 몰려있어

그러나 이러한 장밋빛 청사진이 현실화되기에는 아직도 요원하다. 특히, 전철(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특정지역은 전철 수혜의 특권을 누리는 반면 일부 지역은 장기간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다.

실제로 서울 강남ㆍ서초ㆍ송파구 등 강남 3구(인구 170만명)에는 모두 70여 개(강남구 29개, 서초구 19개, 송파구 22개)의 전철역이 몰려 있다. 강남 3구의 인구는 경기도 인구(1천200만명)의 14%에 불과하지만, 전철역은 134개인 경기도의 52%를 넘어선다.

강남 3구를 관통하는 전철 노선은 2ㆍ3ㆍ4ㆍ5ㆍ7ㆍ8ㆍ9호선과 분당선, 신분당선까지 무려 10개 노선이다. 가히 전철 공화국이라 할 수 있을 정도다. 거미줄처럼 촘촘히 연결된 전철 노선망은 서울 강남 지역의 집값을 떠받치는 핵심 인프라로 작동하고 있다.

반면, 서울의 외곽지역과 경기도의 대부분 지역은 일상생활에서 철도 혜택을 거의 누리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인 수치에서도 확인된다. 서울의 철도 수송분담률이 36%인 반면 경기도 철도 수송분담률은 고작 7.9%밖에 되지 않는다.(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수도권 철도망 완성을 통한 경기도 도시철도 추진 방안’) 그것도 경기~서울 간 노선이 대부분이고 경기~경기 간 분담률은 겨우 2.7%에 그친다.

경기도 서남부 지역은 특히 정도가 심하다. 동탄신도시에서 오산ㆍ광교ㆍ의왕 등 새로 형성된 신시가지와 1번 국도변은 전철역을 찾아보기 어렵다. 단적으로 인구 16만명인 의왕은 전철역이 단 한 개에 불과하다. 전철역이 도보권에 있는 서울과 달리 접근성도 현저히 떨어져 마을버스 등을 통해 환승해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기도 서남부 지역의 경우 현재 수많은 대규모 개발 사업이 계획 또는 추진 중인 대한민국의 용광로와 같은 곳이다. 다른 어느곳 보다 전철이 필요하고 시급한 지역이다.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라 인구와 산업이 몰리고 교통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서남부지역의 350만 시민은 지난 2011년 11월 ‘인덕원~동탄’, ‘월곶~청계’ 구간 복선전철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사업추진이 확정됐다고 발표됐을 때 환호했다. 그러나 이듬해 기획재정부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사업과 수요가 중복될 수 있다는 이유로 복선전철 사업을 전면 재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혀 시민을 크게 실망시켰다.

경기 서남부는 철도혜택 거의 못누려

다행히 최근 기획재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예결위에서 최종적으로 예산을 반영하면 기재부가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국토위 예산소위 2014년도 정부예산(안)에 인덕원∼서동탄 복선전철 기본설계비 90억원과 월곶∼판교 복선전철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비 55억원을 반영해 예결특위 심사를 앞두고 있다.

국회 심의를 앞두고 의왕ㆍ안양ㆍ광명 시민들은 ‘복선전철 착공’을 촉구하는 대대적인 서명 운동을 벌이고 있다. 차디찬 겨울날씨에도 불구하고 거리로 나선 시민의 뜨거운 바람처럼 복선전철사업 예산이 국회에서 확정돼 경기도 서남부 주민들도 전철의 혜택을 보는 ‘호사’를 누릴 수 있을까. 공은 이제 정부로 넘어가 있다.

김성제 의왕시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