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사고 긴급신고전화 '122'를 운영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효용성은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해경청에 따르면 해경은 해양사고 발생 때 신고자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 적절한 초동조치를 취하기 위해 지난 2007년 7월 해양사고 긴급전화 122 서비스를 시작했다.
긴급전화로 들어온 신고가 재난사고일 경우 해경은 이동통신사에 휴대전화 위치정보 확인을 의뢰해 곧바로 신고자의 조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해경도 범죄신고는 112, 화재신고는 119, 해양사고는 122'라는 표어를 만들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벌였다.
하지만 도입한 지 7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낮은 인지도 때문에 122 신고전화는 국민에게 외면받고 있다.
실제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최초 신고자인 단원고 학생도 119로 신고했고, 다른 승객들의 신고전화 10여 통도 모두 119에 접수됐다.
이처럼 활용이 많이 되지 않아 국정감사에서 매년 빠지지 않고 이 문제가 지적됐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은 지난해 국감 당시 "122 운용 사업비로 최근 5년간 43억원을 투입했지만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질타하기도 했다.
신지원 기자 sj2in@kyeonggi.com
사진= 세월호 침몰 사고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