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열 공급 인근지역까지 포함 용량 늘려 허가 입주예정자들, 환경피해 우려… 축소 요구 집단 반발
하남시와 성남시, 서울 송파구에 걸쳐 있는 위례신도시 입주예정자들이 단지 내에 들어서는 열병합발전소의 용량축소 등을 요구하며 집단 반발하고 있다.
14일 위례신도시 입주예정자와 하남시, LH 위례사업본부 등에 따르면 하남시 학암동 226 일대 들어 설 위례신도시 열병합발전소(3만9천189㎡, 총사업비 6천670억원)는 올 하반기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16년 10월께 완공 예정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008년 6월 집단에너지사업 허가(전력수급계획)를 하면서 위례 열병합발전 설비는 228MW로 계획했다.
이후 정부 조직개편에 따라 산업통산부가 지난해 7월말 사업변경을 하면서 두 배 이상 큰 460MWㆍ418.7Gcal/h로 허가를 내줬다. 열 공급 대상을 같은 단지가 아닌 서울 송파구 거여·마천 뉴타운까지 포함, 발전 설비를 늘린 것이다.
이 규모는 서울 목동 열병합발전소의 전기 생산 용량의 21MW 보다 20배 이상인데다 서울 당인리 화력발전소의 발전 시설용량(387.5MW) 보다도 훨씬 크다.
이로 인해 입주예정자들은 ‘위례 열병합발전소는 사실상 화력발전소’라며 ‘용량을 당초 계획대로 환원하라’고 집단 반발하고 있으며, 지난 10일에는 입주예정자 300여명이 LH 본사에서 ‘위례 열병합발전소 용량 축소’를 요구하는 집회를 벌였다.
입주예정자 A씨는 “열 공급 대상지역에 위례신도시 외 서울 문정지구와 거여·마천지구를 포함해 인·허가를 내줄 근거가 없다”며 “이는 집단에너지사업법 제9조(사업의 허가)를 정면 위반한 것이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B씨는 “주민 의견이 무시된 증설은 인정할 수 없다”며 “발전소 주변에 학교가 들어서 소음과 먼지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당연히 발전 용량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박윤서 하남시 택지개발팀장은 “열원시설은 LH와 국토부 등에서 제한사항을 고려해 결정한 것으로 안다”며 “입주민들이 우려하는 환경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LH 관계자도 “입주민들이 발전 용량이 커지면서 화력발전소로 오해하고 있다”며 “2008년 사업선정 당시보다 고효율 발전설비가 나오면서 불가피하게 변경이 된 것으로 용량 축소는 사실상 어렵다”고 밝혔다.
한편 주민들은 하남시와 성남시, 서울 송파구, 국민신문고 등에 민원을 제기했으며, 향후 감사원 감사청구와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할 예정이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