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에 휩싸인 해경… “상상 조차 하지 못했다”

박 대통령 ‘폭탄 발언’에 쑥대밭… “상상도 못했다” 망연자실
해체 충격 휩싸인 ‘해양경찰청’

“세월호 사고 대처 유관기관 총체적 허점… 왜 해경만…”

진도 사고현장서 수색작업 해경특공대 27명 사기도 ‘침몰’

출범 61년만에 불명예 역사속으로… 아쉬움ㆍ비통함 교차

출범 61년을 맞은 해양경찰이 충격에 휩싸였다.

박근혜 대통령은 19일 세월호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고심 끝에 해경을 해체하기로 결론을 내렸다”며 “수사·정보 기능을 경찰청으로 넘기고 해양 구조·구난과 해양경비 분야를 신설하는 국가안전처로 넘길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 해경청 본청 직원을 비롯해 1만 1천600명의 해경은 예상을 뛰어넘는 발표에 망연자실한 분위기다.

한 해경 간부는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전반적인 조직 개혁은 예상했지만, 아예 해체라니 상상도 못했다”면서 “그저 안타까움에 할 말이 없다”고 말했다.

한 해경은 “해경이 초동 대처와 수색·구조 등 부분에서 부족한 점을 보인 것은 맞지만, 관계기관 모두가 허점을 보인 와중에 유독 해경만 해체라는 초유의 결정이 났다”고 한숨지었다.

세월호가 침몰한 진도 앞바다에서 수색 작업을 벌이는 27명의 해경특공대원은 물론, 특별 공개채용 시험에 응시한 해경 지망생 역시 충격에 사기와 의욕이 꺾인 상태다.

이처럼 해경 전체가 충격에 휩싸인 가운데 인천지역 시민단체는 해경 해체가 문제 해결책은 아니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박 대통령이 공직사회가 역할을 못한 것에 강력한 책임을 묻는 것은 십분 이해한다”면서도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고 열강과 해양 마찰이 빈번한 만큼, 완충역할을 하는 해경의 존재는 불가피하다. 해경과 지자체 등 현장에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 현장대응 능력을 키울 개혁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경은 지난 1953년 12월 내무부 치안국 소속 해양경찰대로 출범했다.

창설 초기에는 해양경비, 어로 보호 기능을 주로 담당했지만, 현재 해상범죄 수사와 해상교통 안전, 수상레저, 해양오염 방지 등 업무 영역이 크게 확대됐다.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의 도발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을 차단하는 등 군이 할 수 없는 임무를 담당하며 때론 희생까지 감수해왔다.

그러나 해경은 세월호 침몰 초기 부실한 초동 대응과 수색작업 등으로 비난 여론을 받아오다 출범 61년 만에 해체 절차를 밟게 됐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