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제 첫 도입했지만
도내 투표소 대부분 2층 이상
승강기도 없어… 참정권 외면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투표율 제고를 위해 사전투표제가 처음 도입됐지만 사전투표소 대부분이 2층 이상의 고층에 설치된 데다 이 중 절반 이상에 승강기조차 설치돼 있지 않아 장애인의 참정권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5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와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에 따르면 다음 달 4일 치러질 투표에 앞서 오는 30ㆍ31일 양일간 사전투표가 실시, 경기지역 동별로 설치된 사전투표소 553곳에서 투표가 이뤄진다.
이들 사전투표소는 국가전산망 이용이 가능하고 장소 확보가 쉬운 동별 주민센터에 90% 이상이 설치됐다.
그러나 법정공휴일인 투표일과는 달리 사전투표 기간에는 주민센터 1층에서 민원업무가 이뤄져야 하는 탓에 대부분 사전투표소가 지하 및 지상 2층 이상에 마련됐다.
이러면서 상당수 센터에 승강기가 마련돼 있지 않아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투표에 어려움이 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도민촉진단이 도내 사전투표소 177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층에 사전투표소가 마련된 곳은 단 11곳에 불과하고 전체의 93.7%에 달하는 166곳은 지하 및 지상 2층에 설치됐다.
1층에 사전투표소를 설치할 예정인 곳은 수원지역의 경우 40곳 중 1곳에 그쳤고, 안양시는 31곳 중 2곳, 평택시는 24곳 중 3곳이었으며, 과천ㆍ하남ㆍ이천 등은 단 한 곳도 없었다.
특히 조사대상 중 절반 이상인 87개소에 승강기가 설치돼 있지 않았다.
이에 휠체어장애인이 사용 가능한 임시기표소가 1층에 따로 설치될 방침이지만 이마저도 요청이 있을 시 일시적으로 설치하겠다는 곳이 많은데다 지자체마다 설치 개수 및 운영방법이 달라 투표에 참여하는 장애인의 불편이 우려된다.
또 청각장애인의 투표를 돕는 수화통역사의 경우 평택시에만 6개소에 배치될 예정으로 나머지 사전투표소에서는 청각장애인의 투표가 불가능하다.
경기도 지체장애인협회 관계자는 “이번 사전투표소 설치는 일반인들의 편리성은 확보된 반면 장애인들은 철저히 배제된 상황”이라며 “장애인의 접근성을 보장하고 수화통역사 배치를 늘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경기도선관위 관계자는 “임시기표소 설치여부 등을 꼼꼼히 살펴 장애인 유권자의 투표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