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기초의원 ‘깜깜이 선거’… 대안 제시 기사 필요”

2014년 6월 독자권익위원회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위원장 전봉학)는 19일 오전 11시 본보 1층 중회의실에서 지난 한달 간 게재된 신문 기사와 편집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 위원들은 지난 6·4 지방선거와 관련해 심층적인 토론을 벌였다.

위원들은 이번 지방선거와 관련, 교육감과 기초의원 선거가 과연 필요한지 의구심을 제기했다.

이들은 수많은 후보가 난립한 교육감 선거에서 누가 누군인지도 모를 만큼 후보자들의 개별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웠던 점 등을 들어 소중한 참정권을 행사하는데 애를 먹었다고 의견을 냈다.

또 교육부가 추진하는 정부 정책과 당선된 교육감의 행보가 어긋날 수 있는 만큼 ‘백년지계’인 교육이 혼선을 빚을 수도 있음을 우려했다.

또한 당의 공천을 받을 필요가 있느냐는 논란이 있었던 기초의원의 경우도 유권자들이 개별 후보자들의 면면을 파악하기에는 관심이 많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언론들도 선거 전에는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가 나왔지만 선거 후에는 이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기사가 없었다며, 이에 대한 분석기사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선거와 관련한 본보 보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비교적 공정한 보도를 했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선거 이후 남경필 경기지사 당선인이 펼치고자 하는 연정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는 만큼, 이를 비롯한 당선 후 정책 등에 대한 적극적인 소개도 당부했다.

수원에서만 3곳 등 다음달 30일 결정되는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대해서는 최근까지 지역을 벗어난 유명 정치인들이 후보자로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며, 자칫 인기투표에 머물 수 있는 선거에 대한 철저한 검증절차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선거일 다음날인 5일 많은 곳에서 배달이 지연돼 독자들이 신문을 받아 보지 못해, 독자들의 불만이 컸다고 지적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