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검사이름 도용 ‘보이스피싱’ 극성
“대포통장사건 연루됐다” 감쪽같이 연기
발신번호로 전화하면 “인천지검 입니다”
가짜 인천지검ㆍ금감원 홈페이지로 유인
계좌번호ㆍ비밀번호 등 알아낸뒤 돈 빼내
인천지방검찰청 소속 검사와 수사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가 기승을 부려 주의가 요구된다.
13일 인천지검 수사과에 따르면 평소 하루 평균 10건 안팎이던 보이스피싱 상담 문의가 지난달 말부터 하루 40여 건에 달하는 등 4배 이상 급증했다.
보이스피싱단은 인천지검에 근무하는 검사 A씨와 수사과장 B씨 등의 이름을 밝힌 뒤 “대포통장 사건에 연루됐다”며 각종 신용정보를 요구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구체적인 날짜와 사건번호를 설명한 뒤 “C 은행 계좌로 마이너스 통장이 개설된 사실을 확인하라”며 가짜로 만든 인천지검이나 금융감독원 홈페이지로 유도한다.
하지만, 이들 홈페이지는 정교하게 만들어졌지만, 일부 클릭이 되지 않는 메뉴가 존재하는 등 실제 홈페이지와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또 피해자의 다른 은행 계좌도 위험하다고 강조하며 계좌번호와 인터넷뱅킹 아이디 및 비밀번호 등을 홈페이지에 입력하라고 요구한다.
특히 피해자가 발신된 번호로 다시 전화를 하면 “인천지검 ○○○입니다”라고 이름까지 밝히며 받는 등 치밀함마저 갖춘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최근 몇몇 민원인이 인천지검을 찾아와 해당 검사와 수사관에게 면담을 요구하기도 했다.
검찰은 현재까지 보이스피싱 전화가 실제 피해로 이어진 사례는 없지만, 이날 서울 용산에서 피해 의심 신고가 접수됨에 따라 전화 발신지 추적 등 수사에 나섰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수사기관은 사건과 관련해 전화로 금융정보를 물어보지 않는다”며 “보이스피싱 전화가 오면 일단 끊고, 인천지검이나 경찰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