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인업체 경영난… 불법 주·정차 구멍

낮은 대행수수료에 위탁사업 포기 속출

인천지역 지자체가 견인업체 위탁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불법 주·정차 차량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민간 견인업체들이 경영난으로 위탁사업을 포기하거나 문을 닫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인천지역 일선 지자체에 따르면 불법 주·정차 견인 실적은 2011년 5만 8천354건, 2012년 3만 7천915건, 2013년 3만 1천725건, 올 상반기 1만 3천6건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

지역 내 민간 견인업체에 불법 주·정차 견인을 위탁한 곳은 남동구와 중구 단 두 곳에 불과하며, 동구·남구·연수구 등은 다른 지역 견인업체에 의지하고 있다. 부평구와 계양구는 아예 견인업체들이 나서지 않아 시설관리공단이 직영하고 있다.

특히 서구는 지난해부터 견인업체들이 계약을 꺼리면서 현재 견인업체가 없는 상태로 2011년 9천351건에 달하던 견인 실적이 올 상반기 0건이다. 서구는 지난해 9월과 올해 1월 두 차례 견인업체 모집에 나섰지만, 모두 유찰돼 결국 진입장벽을 낮춰 하반기에 또다시 입찰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마저도 유찰되면 공단 직영 전환을 검토 중이다.

불법 주·정차 차량 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주민만 피해를 보고 있다.

서구는 불법 주·정차 차량이 있어도 견인하지 못하고 차주에게 연락하거나 경찰서의 협조를 받아 처리하고 있다. 타지역 견인업체와 계약한 남구와 동구의 경우 주민들이 중구 내 견인보관소로, 연수구 주민들은 남동구 내 견인보관소로 견인차량을 되찾으러 가야 하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견인업체들은 견인 요금체계 현실화를 요구하고 있다.

일선 지자체의 견인료(3만 원)가 서울·부산(4만 원)에 비해 턱없이 낮은데다 2002년 사업 시행 이후 단 한 번도 인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견인업체들은 영상장비 단속이 확대되면서 견인 대상 차량이 대폭 줄어 이대로는 견인 부지 임대료, 레카차량 운영비, 인건비 등을 감당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견인업체들이 낮은 견인료와 실적 감소로 어려움을 겪어 견인업체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라며 “공단에서 직영하는 방법도 있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아 고민”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